[블로거 기자단-햇빛창공]

금방이라도 눈이 내려 볏짚 위로 소복히 쌓일 듯한 날이 다가옵니다.

볏짚은 쓰임이 많은 부산물입니다. 요즘은 초가의 지붕을 올리는 경우는 없지만, 공예품의 재료가 되기도 하고 양질의 유기물로 토양을 개량하는 좋은 재료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매년 폭등하는 곡물사료와 건초를 대신하는 조사료로써 훌륭한 가치를 지니는데 대부분 모를 내면서 축산농가와 볏짚 계약이 이루어지곤 합니다. 볏짚을 확보하기 위해 축산부산물인 축분퇴비를 논에 살포해주거나 경운을 해주는 경우까지 있으니 볏짚 확보의 치열함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맘 때면 논마다 축산농가가 포장해 놓은 볏짚곤포사일리지가 덩그러니 놓여 궁금증을 자아내곤 합니다. 벼를 탈곡한 후 1~2일 말려 수분 함량이 65% 정도가 되었을 때 제조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소화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암모니아와 미생물을 투입해 젖산발효가 이루어지게 합니다. 비닐로 멀칭을 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곤포사일리지는 운반과 장기저장이 용이하여 소 먹이로 사용하기에 그만입니다.

밥상의 주인인 쌀을 생산하는 논과 소의 관계를 굳이 늘어 놓지 않아도 논과 인간과 소의 관계는 옛부터 밀접했습니다. 쌀을 생산하기 위해 농부들은 소의 힘을 빌어 농사를 지었고 그 대가로 벼의 각종 부산물과 인간이 취하고 남은 음식물은 소의 차지가 되었습니다.



불현듯 쇠죽을 쑤던 옛 기억이 떠오릅니다. 쇠죽을 쑤기 위해 볏짚을 작두로 잘게 썰어야 했는데, 예리한 작두날은 언제나 긴장하게 했고 '쓱싹~' 통쾌하고 매끄럽게 잘리는 볏짚에서 쾌감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논은 식량을 생산하는 공간 외에도 다양한 생물이 터를 잡고 살아가는 인공습지에 속한다고 합니다. 홍수조절능력, 기온조절, 대기정화효과, 토양 유실을 막는 환경적인 효과가 뛰어난 논에는 각종 미생물과 곤충, 잡초를 비롯하여 개구리와 우렁이, 미꾸라지 등이 살아가고 벼의 낱알을 먹기 위해 찾아드는 새들의 중요 서식처가 되기도 합니다. 논은 인간과 자연이 공유하는 공간이지만 해마다 논 면적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양질의 쌀이 생산되던 비옥한 농토는 부동산 개발지역으로 지정되어 아파트 단지와 공장지대로 변하였고 쌀값이 매년 동결되면서 (반면 농자재와 인건비 상승으로 생산비는 매년 증가했다) 쌀 생산에 희망을 잃은 농민들은 스스로 다른 작물을 재배하거나 보조금이 지급되는 작물로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바쁜 현대사회는 밥상문화를 빠르게 변화시켰고 밥을 지을 시간을 투자하는 대신 간편한 외식과 밥 대신 면과 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전 여전히 밥심으로 삽니다.

이 세상엔 제 이익을 챙기기에만 급급하여 밥그릇 싸움하는 사람들이 있고 밥값도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읍내 거리에는 "쌀값 인상하라", "폐기 한미 FTA·저지 한중 FTA"가 쓰여진 현수막이 여전히 펄럭이고 있습니다. 이것 또한 농민들을 위하는 척하는 그들만의 밥그릇 싸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http://blog.naver.com/thdgk04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