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신문활용 교육] 컬러리스트와 신문 읽기 한쪽 분량에도 질문의 답 오리무중 … 독서교육 필요성 깨달아

겨울방학이 끝났다. 겨우내 잠들어 있던 학교는 아이들의 함성소리로 다시 깨어나 숨 쉬는 곳이 되었다.

주인장 없는 이번 겨울방학의 학교는 휭하니 찬바람만 불고 녹지 않은 눈 더미가 시커멓게 변해 볼썽사나운 모습으로 군데군데 널브러져 있다가 이제야 생기를 찾은 듯하다.

하지만 개학이 좋은 면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겨울방학이 끝난 후부터 봄방학을 하기까지는 학생도 교사도 상당히 힘든 시기이다. 소위 '진도'라는 것이 있는 우리나라는 기말고사전에 모든 교과의 진도를 다 나가야 한다는 것이 '관례'이다.

다시 말하면 새학년, 새학기가 시작되는 3월까지가 소위 '공백기'이다. 이 '공백기' 동안 상당수 아이들은 지난 일 년을 복습하는 것도 새로운 학년을 준비하는 것도 싫어한다.

지난 일 년간 각종 시험과 수행평가에 찌든 결과다. 물론 그 중에는 자기공부를 알아서 하는 아이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교사는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개인별행동특성입력을 해야 한다.(봉사시간 입력을 단순 계산 해봐도 30명×20건×30초=18000초=5시간이 나온다.) 그 외에도 수많은 잡무들.

암튼 바쁜 일정 속에서 아이들과 재밌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다가 미디어 교육 사이트인 FORME(http://www.forme.or.kr)에서 NIE지도안을 뒤졌고 김용곤선생님의 '컬러리스트' 지도안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아이들에게 새로운 직업도 소개할 수 있고 나도 신문 활용 교육을 해볼 수 있어서 좋은 기회다 싶었다. 김용곤 선생님의 지도안을 읽어보면서 일단 NIE교육을 시도하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겠구나라는 자신감이 느껴졌다.

수업 준비하면서 나의 생각은 이랬다. '음~, 아이들이 새로운 직업에 흥미를 느끼지 않을까?' 특히 여학생들이라 '컬러리스트'라면 관심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교실에 들어가서 오늘 뭐할 거냐고 묻는 아이(이런 아이 꼭 있다.)에게 "애들아, 컬러리스트라고 들어봤니?"라고 운을 띄웠다. 그러자 좀 아는 척 하는 아이들은 "색깔요~"라고 할뿐 정확하게 알고 있지는 않았다. 활동지를 나눠주고 신문 기사 읽기를 시작했다. 활동지에는 '컬러리스트란 무엇인가', '컬러리스트의 자질은 무엇인가?' '컬러리스트의 전망은 어떤가?' 라는 세 가지 물음이 있었다. 신문에 나온 기사의 핵심이라고 생각했다. 이 세 가지 물음에 답을 직접 써보는 것으로 활동지는 구성이 되어 있었다. 아이들 수준에서 별로 어렵지 않을 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서 나온 예상치 못한 질문. "선생님, 자질이 뭐예요?" "선생님, 전망은 뭐예요?" 내 머리를 띵하게 치는 질문들.

하지만 이게 아이들 눈높이에서는 좀 어려운 단어일 것도 같았다. 그리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할 수 있는 아이들의 저 용감함이 교육의 출발이 아닐까도 싶었다. 이럴 때 답을 바로해주는 교사는? 당연 아마추어다. 나는 다시 여러 아이들에게 되물었다. "애들아 자질이 뭐지?" 아이들은 저마다 자기 눈높이에서 알고 있는 생각을 끄집어내었다. "자격 같은 거요." "뭔가 그것을 할 수 있기 위해 갖춰야 하는 거요." "그럼 전망은 뭐야?" "앞으로요.", "앞으로 어떻게 될 거다 이런 거요."

아이들은 활동지에 있는 기사를 읽고 활동지에 있는 세 가지 물음에 답을 적어나갔다. 물론 관심이 없는 아이부터 열심히 적어나가는 아이까지, 교실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아이들이 모여 있는 곳이란 생각이 새삼스레 들었다. 자신이 적은 답을 옆에 친구랑 비교도 해보고 모르는 친구가 있으면 가르쳐주기도 했다. 짜증나는 말투로 "이거 왜 하는 거예요?"라고 묻는 아이도 있다.

이런 아이들을 대할 때 자칫 속된말로 '싸가지 없다'고 느낄 수도 있으나 과거와 비교했을 때 요즘아이들은 자기 주체성이 강하다는 긍정적인 면도 발견하게 된다.

끝으로 발표를 해보았다. 그다지 어렵지 않은 과제라 답을 잘 찾은듯했다. 하지만 한 쪽 분량도 되지 않는 내용에서 질문의 답을 찾는 것이 여전히 어려운 아이들도 있었다. '읽기'의 중요성을 다시 느끼는 지점이었다. 공부의 시작과 끝은 '읽기'라고 해도 과한 말이 아닐 터인데. 특히 '자질', '전망' 같은 그다지 어렵지 않아 보이는 어휘를 모르는 부분은 독서교육의 중요성을 다시금 환기하는 것이라 여겨졌다.

집으로 와서 아내에게 오늘 진행한 교육에 대해 이런저런 애기를 나눴다. 자칭 청소년 문화 취향이라고 하는 아내의 조언은 이렇다.

소재가 중학교 여자아이들에게 그다지 관심 있어 보이지 않는다는 거였다. '컬러리스트'라는 직업은 어른들이 관심 있어 할 이야기지 아이들 눈높이와는 맞지 않아 보인다는 얘기였다.

아직도 내 눈높이가 아이들과 맞지 않는구나 하는 반성과 함께 다음에는 어떤 내용으로 해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또다시 아내의 조언은 이랬다. 중학교 여자아이들의 최대 관심사는 아이돌. 청소년의 취향과 문화 쪽으로 주제를 잡아보라는 얘기였다. 그쪽으로 주제를 잡으면 잘될까? 라는 의문이 풀리지는 않았지만 다시 도전해 볼 생각이다.

수업은 좀체 잘 준비해도 성공했다는 생각을 하기가 어렵다. 10년 된 목수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장인이 되어 있을 터지만, 수업은 갈수록 힘들고 어렵다. 아이들의 눈높이도 맞추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새로움에 늘 도전하고, 일단 NIE 교육을 시작했다는 점이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다음을 기약하면서 스스로에게 용기를 주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