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진단 청주의 복지를 말한다 ② 대안을 찾아라

문제가 있으면 세밀한 분석을 통해 해결할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사회 곳곳에서 알게 모르게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장의 실적을 위해, 아니면 개인의 치적을 위해 그 문제를 덮어 버리는 잘못을 저질러 왔다. 그러한 문제는 권력을 가지고 있을수록 더 심했다고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막대한 예산을 낭비한 현실도 우리는 체험해 보았고, 계층 간, 지역 간, 세대 간 갈등 현상이 빚어지는 안타까움도 경험해 보았다. 이제 필자는 위에서 제시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어떻게 하면 정책이 자치단체장의 의지대로 시민 속에 흡수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밝히고자 한다.

예산현실화·복지환경 개선 '체감도 향상'

체감도 높이는 방법의 지름길은 예산의 현실화와 기존 복지환경의 개선일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사회복지 범위가 넓어지다 보니 복지예산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복지환경을 바꾸는 곳에 투자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실천현장에서 느끼는 복지체감은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지역사회복지의 중심기관인 사회복지관 예를 들어 보면, 지원되는 예산은 3년 전이나 3년 후나 변화가 없다. 물가와 인건비가 상승하는 현실에서 살림살이는 오히려 열악해졌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자치단체 복지예산규모가 전체 예산의 30%를 넘는다 해도 사회복지관 하고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설·단체를 만드는데 예산을 투자하는 것 보다는 기존의 시설·단체를 리모델링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을 전개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주었으면 한다.

사업진행 늦더라도 이해·설득이 우선

이제는 소통의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정책의 비중과 예산의 규모를 떠나, 기획과 설계부터의 이해 당사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이야기를 듣고,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을 이해시킨 후, 설득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은 사업진행은 다소 늦을지 모르지만 결과는 더 만족스럽게 나올 것이다.

청주시청의 경우 자치단체장은 다양한 채널로 소통을 하고자 노력을 많이 기울이는데 비해, 주무부서의 대응은 미온적인 것도 문제인 것 같다.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들어 시 정책에 반영하고자 하는 자치단체장의 생각을 제대로 읽었으면 하는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다.

서비스 전달방식은 받는 사람위주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즉, 관주도 전달방식과 민을 통한 전달방식이다. 그러나 두 방식 공히 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공급자 위주로 사업이 진행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뉴얼에 나와 있는 수준에서 서비스를 전달할 수밖에 없었고, 현실에 맞는 융통성과 탄력성을 가미한 서비스 전달은 엄두가 나지 않았던 것이 현실이다. 이제는 이 방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즉, 서비스 전달방식이 받는 사람 위주로 변화되어야 한다.

서비스 권역화 통한 네트워크 기능 강화

우리는 네트워크를 이야기 하면서 자신의 문은 굳게 걸어 놓고 상대방만 문을 개방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는 자신의 마음은 닫아 놓고 상대방에게 소통하자고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자신은 기부금을 한 푼도 내지 않으면서, 우리나라의 기부문화가 문제라고 이야기 하는 사회복지전문가들의 행태와도 일맥상통한다. 모두 앞뒤가 맞지 않는 행태이다.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변화노력이 필요하다. 자신은 조금 손해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시작해야 진정한 네트워크가 가능하다. 필자는 우리 지역에서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권역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청주시도 이제는 67만 시대를 넘어 80~100만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제는 중소도시형에서 대도시형의 복지모형이 만들어져야 하고, 청원군지역을 포함하는 도·농 형태의 모형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청주와 청원을 연결할 수 있는 권역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통합실무진에서는 행정권역 설정 등에 대해서는 용역을 통해 결정한다고 발표하였다. 권역화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행정적인 분류를 전혀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주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6개 권역으로 나눠져 있는 형태에, 청원지역 1~2개의 권역을 추가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권역화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 기관·단체의 사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더불어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민·관 협력체계 강화로 시너지 효과

지난 2003년 7월 30일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라, 2005년 7월 민관협력기구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전국 각 시·군·구에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구성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한 결과물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마도 민과 관이 가지고 있는 환경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결과라 생각한다. 관은 관대로 민을 생각하는 기준이 있고, 민은 민대로 관을 생각하는 입장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결국 기구는 있으되 역할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청주 나름대로의 민관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서로가 먼저 변하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관(官)은 우선 고질적인 관료주의 사상을 버려야 한다.

물론 공직사회가 과거에 비해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아직도 관료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민원인을 대하는 사례가 종종 있음을 본다. 민(民) 역시 많은 부분 변화가 필요하다. 매뉴얼에 있는 사업만 수행하면 그뿐이라는 소극적인 생각, 말은 요란하지만 행동은 미온적은 행태, 잘하는 사람이 있으면 칭찬하지 아니하고, 지나치게 끌어내리려는 사고방식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

매일매일 변화하는 흐름에 공직사회는 적극적으로 적응하려 노력하는데 반해, 민은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는 현실도 냉정하게 인정하고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민·관 협력체계는 이러한 양자 간의 노력이 수반됐을 때 만들어질 것이고, 이 틀 안에서 우리 지역의 복지는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 프로그램 사례 1.복지체감도 실태조사

기간 2013년 1월~12월 (각 분기별 지역 분산조사)
대상 6,750가구(용암동 영구임대아파트 외 무작위 할당 표집)
내용 문제유형별, 가구별, 생애주기별 복지 5개 영역 조사 분석, 생활여건, 생애별 서비스 이용현황, 만족도, 보건의료 영역(정신관련, 자살, 우울 등), 사회적 지지상태 및 직업관련 사항 등
협력부서 청주시청, 종합사회복지관, 정신보건센터 등
기대
효과
청주지역 각 변인에 따른 효과적 대응책 등의 정책개발 자료 마련,
각 지역별 특성 및 현황에 의한 문제점 파악


■ 프로그램 사례 2. 소통과 나눔이 있는 이야기 마당

기간 총 4회(2013년 2월, 4월, 8월 11월
규모 각 동 통장, 복지재단 시민위원(사회복지 종사자) 등 160명(회당 40명 x 4회)
장소 청주시청 등 시민 근접성 고려 시기 별 선정
방법 주제선정, 콘티구성, 토크콘서트, 진행녹화(홈페이지), 시민시청, 진행 일정 및 주제(안)
주제 2월 21일 더불어 함께 희망하는 '복지 청주'의 꿈, 4월 4주 '따뜻한 복지'를 위한 타 지역 우수사례, 8월 4주 '따뜻한 복지'를 위한 우리 지역 복지 자원 현황, 11월 2주 '따뜻한 복지'를 위한 우리 지역 우수사례


■ 프로그램 사례 3. 네트워크 역량지원 사업

기간 2013년 1월 ~ 12월
장소 청주청원 네트워크 시범권역(A권역)
내용 시범권역 네트워크 팀 구축, 네트워크 조정자 파견,
권역별 통합사례관리 기반조성, 시범권역 지역사회조직화
기대
효과
권역별 복지네트워크 시스템 확산의 근거마련, 지역사회 복지지관간의 협력적 복지네트워크 활성화, 청주 전체의 민관 통합사례관리 및 복지서비스 체계조성, 지역 내 잠재적 자원 발굴 및 공유기반 조성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