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은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제 발로 찾아오는 것이 아닙니다. 땀과 노력, 정열과 끈기를 바쳐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조금 더디고 늦을지라도 희망을 심는 일을 결코 멈추지 않으려 합니다." - 본문중에서
'통동골'은 그가 2005년부터 몸담았던 꽃동네학교가 있는 동네 이름이다. 장애학생들과 애환을 나누며 교육활동을 마감한 잊을 수 없는 곳이라고 그는 소개했다.
40년간 교육계에 몸담아왔던 오세균 옹은 1934년 청원군 현도에서 태어나 23세에 세광고에서 교편생활을 시작한뒤 76세에 꽃동네학교에서 은퇴하는 등 충북 중등교육계에 몸담았다. 단재교육원, 충북교육연구원에서도 10년간 근무하면서 많은 학생, 교사, 학부모들과 만나 이야기하고 강의를 진행했다.
책 구성은 최근부터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형태로 짜여졌다. '80에 흘리는 눈물이라니', '선생으로 40년, 나는 제대로 한 것일까?', '정년, 절제된 여유와 사랑', '천당표를 준비하는 삶' 등 글의 소재에서도 80년 세월의 흔적이 엿보인다.
1장 '실제 퇴직 이후 최근 나의 상념들'에서는 76세 퇴직이후 노년에 겪게 되는 여러 대소사를 치루면서 느꼈던 생각들을 담았다.
2장 '65세 법정 정년이후 실제 퇴직까지(65~76세) "나의 도전은 계속되었다"'에서는 꽃동네학교에 있으면서 상담실을 운영한 일, 재소자와 만났던 시간, 외부강의 요약서 등 사람을 만나면서 느꼈던 감정을 담았다.
3장 '더 먼 과거의 소중했던 몇가지 "나의 기억과 함께 오래 할 겁니다"'에서는 단재교육원과 수곡중학교 시절, 가정과 자녀교육 관련 글, 신앙에 대한 글, 지인과 주고받은 편지글, 결혼주례사로 엮었다.
오세균 옹의 저서로는 '백족산에 심은 생각'(1998)이 있다. / 김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