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충북 청원군 내수읍 초정리에 행궁을 짓고 123일간 요양하면서 한글창제 마무리 작업뿐만 아니라 조세법을 개정하고 청주향교에 책을 하사하는 등 조선의 르네상스를 실천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청주시문화재단이 충청북도문화재전문위원 조혁연씨 등과 함께 세종대왕 초정행궁의 발자취를 연구조사 한 결과 밝혀졌다.

세종대왕이 초정에 행차해 행궁을 짓게 된 배경, 어가행차의 노선, 당시 초정리 풍경, 초정행궁에서의 활동 내용 등의 궁금증이 상당 부분 풀렸다.

세종대왕이 안질·소갈증·욕창 등으로 고생하자 대신들이 초정약수를 추천했으며 세종은 1444년 2월에 내섬시윤(지금의 비서관) 김흔지를 통해 초정리에 행궁을 짓게 하고 3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행차했다.

당시 한양에서부터 초정리까지의 거리는 280리였으며 한양~영남대로~죽산~진천~초정의 노선을 5일에 걸쳐 어가 행렬을 통해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 행차에는 세자(문종), 영흥대군(영웅대군), 안평대군도 동행했다.

세종이 초정리에 행궁을 짓고 머무른 기간은 두 번에 걸쳐 123일간(1차 3월2일부터 5월2일까지, 2차 7월20일부터 9월21일까지)으로 초정 약수를 마시고 몸을 씻는 등 치료를 했다.

다만 초정리 행궁은 1448년 방화로 불에 타 없어지면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나 '신동국여지승람'등의 자료에 초정원 옆에 있다고 기록해 초정약수터 주변으로 보고 있다.

행궁을 짓고 123일간 머물면서 세종대왕은 한글창제를 마무리 하고 대신과 주민들에게 한글을 보급하는 데 힘쓴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은 한글창제 반대파였던 최만리 등을 유치장에 하루 동안 가두도록 명령할 정도로 한글창제에 열정을 쏟아 부었다.

1444년에 만들어진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치고"의 샘이 초정리의 약수(우물)인 것으로 알려져 초정리의 약수와 자연환경이 세종에게 수많은 영감을 준 것으로 보인다.

마을 주민에게 술과 고기를 하사하고 노인을 초청해 양로연을 베풀었으며 청주향교에 통감훈의·성리군서·집성소학 등 책 9권도 하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중부지역에 가뭄이 계속되자 "청주목 백성들이 나 때문에 고통받는다"며 집집마다 벼 2섬을 무상으로 전달하도록 했으며 어가 행차 중에 전답이 훼손된 농가에는 쌀과 콩으로 보상하도록 했다.

특히 세종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민투표를 통해 조세법을 '연분 9등법(풍흉)'과 '전분 6등법(토질)'으로 개정하기로 한 뒤 인근 청안현 등에 시범으로 도입한 뒤 전국에 확대 보급했다.

조혁연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은 "세종실록 등의 문헌을 통해 세종대왕의 발자취를 조사한 결과 궁궐에서는 한글창제를 비롯한 다양한 정책을 연구했지만 초정리 행궁 생활을 하면서 한글창제를 마무리하고 수많은 정책을 시범 운영토록 하는 등 조선의 르네상스를 실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