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김대식 천안 대영푸드 대표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 선택은 '변화와 개혁'이 아닌 '안정과 경험'이었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올해는 지방선거가 있는 해로, 정치적으로는 물론 경제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한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문턱에서 번번이 주저앉는 가장 큰 이유는 기형적인 수도권 중심 성장, 대기업 편중 성장에 있다 할 수 있다. 지방이 수도권과 동등한 수준으로 성장해야 균형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지방 산업의 경쟁력이 국제사회와 경쟁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지방의 성장이 있어야 국가경쟁력이 높아진다. 현재의 불균형구조로는 글로벌 시대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

지방분권이 실시된 이래, 거창한 비전과 전시행정 등이 난무하고 있지만, 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제대로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는 지방자치기구는 찾기가 쉽지 않다. 지방 발전을 위한 비전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실천 전략이 바로 서 있지 못하다는 것은 거친 밤바다의 풍랑속에 목표없이 내던져진 것과 같다.

가장 우선으로 필요한 것은 좋은 일자리를 지방에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자리가 있어야 지역 인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인재를 통해 지역경제의 활기를 되찾을 수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은 지방 발전 전략의 핵심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는 국가경제의 발전전략과 연계해 추진해야 할 것이고, 지역경제에서의 창조경제를 위해서는 첨단 과학기술과 전통산업간의 소통과 융합이 화두가 되어야 할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와 BT(bio technology)의 융합, IT와 CT(culture technology)의 융합, NT(nano trchnology)와 ET(energy technology)의 융합과 같이 정보기술과 식품산업, 문화와 섬유산업 같은 이종 산업간의 교류와 융합이 시도되고 결실을 맺어야 할 것이다. 현 정부의 창조경제도 이러한 첨단 기술과 전통산업간의 융합을 바탕으로 한국 경제의 제2도약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지역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수시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해 스스로 이를 진단하고 대처하며 해결하기란 여간 쉽지 않은 노릇이다. 이같은 이유는 선진기술과 신경영기법을 체득하기도 어렵고, 투자 여력의 부족으로 인해 연구개발(R&D)이 소홀할 수 밖에 없어 생산성과 효율성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지역 제조업이 고사됨은 물론, 성장기반 자체가 위축되고 있다.

지역판 창조경제 즉, 첨단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성장동력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산학연관(産學硏官)의 힘을 하나로 모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대거 모여 있는 지역 대학이 각 지역의 성장 거점이 돼야 한다.

오늘날의 대학은 더 이상 강의위주로 운영되어서는 안된다. 지역 대학들이 갖고 있는 연구개발 경험을 산업에 접목시켜야 하고, 실무 중심의 인재를 양성해야 하며,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지역 발전의 중심축이 되어줘야 한다.

지역 대학에서는 아카데믹한 연구보다는 실용적인 기술개발로 당장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더욱 활발히 구성함으로써 캠퍼스의 문턱을 낮춰 산학연간의 교류를 활성화시켜야만 한다.

중앙정부와 지역정부는 지역별로 산재한 전통 산업군들에 대한 교통정리 및 지역별 특성화 산업 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반이 다져진 바탕에 적절한 자금지원이 이뤄진다면 지역경제의 활성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전통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산업은 지역 산업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고, 여전히 제조업의 기초산업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통 산업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첨단 연구개발이 전통산업에 슬기롭게 융합된다면 여타 첨단산업 못지 않은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확신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