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김대식 천안 ㈜다영푸드 대표이사

한국에서는 소위 말하는 '한국식 산업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1차산업보다 2차산업을 국가의 기본 발전축으로 삼아 왔고, 20세기에 접어들어서야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본격적인 '지식기반산업'을 위시한 3차산업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한 압축성장의 시대에 있어 급격한 산업화의 이면을 들여다 보면, 1차산업을 등한시하고 천대해 온 것이 사실이다. 식품산업이라는 것이 본디 1차산업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식품산업에 대해서도 그러한 멸시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식품산업에 종사하는 한 사람으로서 여전히 식품산업은 우리의 희망이며, 새로운 시대의 근간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싶다.

여전히 식품산업은 생명산업이요, 안보산업이라 할 수 있으며, 개발하기에 따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산업이다. 1950년 25억이던 세계인구는 2012년에는 75억명이 됐고, 2050년에는 92억명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른 식품시장 규모도 2012년 5조달러 규모에서 2016년에는 6조달러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3조달러규모인 세계 IT시장규모보다도 훨씬 큰 시장이다. (시장조사기관 데이터모니터 조사자료 참고)

단지 그 규모 뿐만이 아니라 경제적 유발효과를 살펴보더라도, 쌀 10kg의 생산유발효과는 2만원 수준이지만, 이를 즉석밥으로 가공한다면 10만원이 되고, 떡으로 찌게 되면 12만원, 술로 빚게 되면 21만원까지 그 가치가 치솟게 됨을 생활속에서 체험하고 있지 않은가.(한국은행 발표자료 참고)

최근에는 식품산업이 바이오테크놀로지(BT)와 융합돼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맞춤형 식품, 기능성 식품 소재산업으로 파생되고 있으며, 정보기술(IT)와 융합돼 맛센서, 전자코, 바이오센서 산업이 유발되고 있고, 나노테크놀로지(NT)와 결합돼서는 나노분말화 산업, 나노캡슐화 산업이 촉발되는 등, 이질적인 산업간의 융합으로 인해 미지의 영역으로 그 영토를 넓혀나가고 있는 중이다. 한 국가가 성장할 때, 가장 두드러지게 변화하는 것 중의 하나가 식품산업과 외식문화가 아닐까한다. 생활습관이 서구화되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우선적으로 다양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생활의 편리를 위해 다양한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함께 최근의 웰빙과 로하스열풍이 증명하듯이,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에 대한 잠재력은 무한하다. 친환경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서 거대한 사회의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또 지난 2000년부터 우리사회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하고 있는데,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기 시작하는 10년후부터는 고령인구만 약 1천만명으로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가 될 것으로 보여, 고령친화형 건강식품 등의 수요가 앞으로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러한 트렌드를 목격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우리 사회는 그에 대한 변화를 준비하고 있지 못하다. 국민들의 욕구는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식품업계의 구조가 워낙 열악하고 산업화 초기단계에 놓여져 있어, 자력으로 이를 준비하고 대처하기란 요원했던 것이 사실이다. 결국에는 서구의 거대식품업체들에 우리 식탁을 조금씩 점령당해 가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품산업을 사양산업 또는 단순가공산업정도로만 치부해 전략육성사업군에서 소외당하고 있는 현실을 보노라면 자괴감이 들 정도이다. 구색맞추기식의 지역별 할당식 식품산업 육성이 아니라, 국가차원의 장기적인 플랜하의 접근이 필요하다. '규제와 제한'이 아닌 '육성과 발굴'을 해줄 것을 절실히 원하고 있다.

매스컴에서도 좋은 먹거리에 대한 관심을 비틀어, 불량식품과 불량음식점에 대한 선정적인 보도로 식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부각시키려 하기 보다는 좋은 먹거리를 지키기 위한 식품인들의 노력을 발굴하고, 원칙과 기본을 지키는 식품업체를 재조명해 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안전한 식품을 만들려는 식품인들의 자정노력으로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이나 각종 식품안전시스템이 정착되어 있어, 예전보다는 식품산업계의 인식 자체가 많이 달라져 있다. 최근 경제계는 장기불황과 국제정세 불투명으로 인해 '고용없는 성장'이 사회문제화되고 있다. 식품산업은 고용유발효과가 대단히 크고, 인접산업에의 파생효과가 엄청난 산업이다. 식품산업이야말로 '자본의 논리'가 아닌 '생명의 논리'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