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근 대전을 비롯한 청주·공주 등 인구와 기업이 행복도시(세종시 신도시)로 속속 빠져나가면서 행복청과 인근 지자체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행복청은 지난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서울 구로 소재 한국정보산업협동조합 등 모두 14곳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중 2곳은 대전 유성 소재 ㈜한국환경생태연구소(모바이 폰 기반 위치추적기)와 ㈜엠케미텍(전자산업 재료)이다.

또 세종시는 26일 자동차소재, 전자소재, 기능소재, 태양광소재 등을 생산하는 한화첨단소재㈜의 본사(현 서울 장교동 소재)와 연구소(현 대전 신성동 소재)를 세종시로 이전 유치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대기업인 한화첨단소재㈜가 본사를 이전하기 위해 기존에 공장을 가동해오던 세종(부강)과 충북(음성) 등의 부지를 두고 고민해오다 세종시를 택한 것이다.

이 때문에 대전시는 행복청이 수도권이 아닌 인근 지역에서 기업을 빼가는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이처럼 대전을 비롯한 인근지역 기업이 세종시로 이전할 경우 '주변 지역에 대한 행복도시 블랙홀 현실화' 우려를 낳고 있다.

여기에 인근 지역의 인구마저 세종시로 잇따라 빠져나가면서 빨대현상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인근 지자체인 대전, 청주, 공주 일대 인구가 세종시로 빠르게 이동하는 등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아직 세종시의 거주 환경이 미비한 편이지만 정부 중앙기관 이전 작업이 착실히 진행되고 향후 주거환경 등 생활 여건이 크게 개선되면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시도별 인구순이동(전입-전출)은 부산(4천568명), 세종(4천522명), 경기(2천288명) 등 11개 시도는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순이동률은 세종이 3.19%(전입 6천921명, 전출 2천399명)로 가장 많고 대전은 1천485명이 감소했다. 최근 4개월간 대전인구의 세종시 유출인구는 무려 4천574명에 달한다.

공주와 청주 인구 역시 '세종시 빨대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공주시 인구는 지난해 말 11만6천369명이었으나 올 10월말 기준 11만4천562명으로 1천807명 줄었다. 청주시의 경우도 지난 10월 한 달간 800여 명이 청주에서 세종으로 보금자리를 옮겼다. 이는 지난해 8월 세종시 이동 인구 87명에 비해 10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지난 1년간 세종시로 옮긴 청주 인구는 3천461명에 달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대전뿐만 아니라 충북도로서도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충북의 경우 오송바이오산업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충북의 전략산업은 IT, BT분야다. 그런데 세종시가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로 지정되면서 행복청과 세종시도 IT, BT분야 기업 유치에 올인하고 있다. 여기에 제2경부고속도로(서울∼세종간)건설이 추진되면서 충북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그동안 대전·충남북·세종시 등 4개 충청권 지자체는 광역행정협의회를 개최하며 상생을 외치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 빨대현상이 나타나자 3개 지자체는 벙어리 냉가슴을 앓고있다. 그렇다고 보고만 있을게 아니라 충청권 4개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고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