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소리, 물소리 맑은 선비의 고장, 청주를 한 눈에 조망하려면 상령산(上嶺山) 정수리를 감싸고 도는 상당산성에 올라야 한다. 신라, 고구려, 백제의 바람이 뒤엉켜 불던 이곳은 삼국의 문화를 고스란히 담은 역사의 질그릇이다.
 주위 4km에 달하는 상당산성은 누가 쌓았을까. 김유신 장군의 아버지 김서현 장군이 쌓았다는 설도 있고 김유신 장군의 셋째 아들인 원정공(元貞公)이 쌓았다는 서원술성(西原述城)이 다름아닌 상당산성이라는 설도 있다.
 필자는 지난 89년, 청주시내에서 오순균씨가 경영하던 골동품상에서 조선시대의 승장(僧將) 영휴(靈休)가 쓴 상당산성고금사적기(上黨山城古今事蹟記)를 찾아낸바 있는데 이 기록에 의하면 궁예가 상당산성을 쌓고 까치내(鵲江)변 토성(정북토성)에 주둔한 견훤과 대치했다고 밝히고 있다.
 대저, 산성이란 주인이 따로 있는게 아니다. 차지하는 자가 성주이고 성주는 필요에 따라 성을 개축하는게 통례다. 상당산성도 삼국시대부터 그러한 역사의 법칙을 따라 왔는데 최근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문화재조사연구단(단장 김정기, 선임연구원 노병식)의 발굴조사 결과 궁예가 쌓은 성을 찾아냈다.
 이번 발굴조사는 서문(미호문)일대와 서쪽 성벽에서 중점적으로 실시됐다. 그 결과 현재의 서문 밖 38m 지점서 또다른 서문터를 찾아냈고 이외에도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겹으로 조성된 새로운 성벽이 천년의 잠에서 깨어나 그 실체를 드러냈다.
 새로 찾은 성벽은 현재 성벽보다 밖으로 축성되었거나 일부 구간에서는 현재의 성벽과 겹치고 안으로 들여쌓은 부분에서는 옛성의 삼각지도 발견되었는데 새로 나타난 성벽부분을 합치면 총 연장 180m에 이른다.
 성벽의 축성시기는 궁예가 활동하던 통일신라 말기와 고려말, 조선시대 등으로 대별되는데 시대에 따라 특징이 잘 나타난다. 즉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경에 쌓은 부분은 고식인 「그랭이 기법」이 등장한다.
 그랭이 기법이란 성돌에 턱을 만들어 그위에 성돌을 조금씩 안으로 들여쌓는 방식으로 퇴물림이라고도 한다. 성돌에 턱을 만들면 아무래도 그 위에 쌓는 성돌이 단단하게 고정되기 마련이다. 이 기법은 고려까지 이어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발굴조사된 성벽의 상당부분은 성벽의 3분의2 정도가 흙으로 덮여 있어서 성벽의 실체를 잘 모르고 있었던 것. 그러다가 이번 발굴에서 그 웅자한 성벽의 모습이 드러났다. 성을 쌓은 기법으로 보아 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언급한 궁예축성 이야기와 일치된다.
 마치 시대가 모자이크된 듯한 상당산성의 서벽은 우리나라 성곽발달의 과정과 편년을 말해주는 듯 하다. 「상당산성고금사적기」는 주인과 나그네간의 대화체로 쓰여진 야사이긴 하나 이번에서 보듯 상당한 신빙성을 갖고 있어 앞으로 괄목해봐야 할 문헌으로 간주된다.

키워드

#연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