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홍양희 충북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장

충청북도는 지난 2월 '2020년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지역내총생산) 전국대비 4% 경제실현'을 위한 투자유치·고용률·연간수출 목표와 구체적인 추진전략을 발표하면서 도민들의 공감대 형성과 참여분위기 확산, 민·관 공조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최근 충북뿐만 아니라 여타 자치단체의 GRDP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이는 GDP와 마찬가지로 한 지역의 경제력이나 생활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지역의 발전과 혁신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충북 4% 경제실현은 기본적으로 개별 경제주체의 개념과 역할을 정확히 인식하고 접근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GRDP의 기본 요건들과 계산 방법을 안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고 하겠다.

최근까지 진행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10여년 동안 각 지역간 1인당 GRDP 격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GRDP는 서울, 경기가 전체의 40% 이상이며 또한 시군구간 고르게 상향 분포되어 있고, 충북보다 좀 더 앞서 나가는 지역으로 전남, 인천, 울산, 충남, 경남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시군구간 불균형적으로 분포한다.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그리고 4대 권역 중에서는 호남권이 시군구간 격차가 크게 나타난다.

GRDP에서 가장 근간이 되는 산업별 종사자 수의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수도권이 비수도권 보다 높았으며, 권역별로는 호남권의 증가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시군구에서는 군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이른바 고성장 지역과 저성장 지역 간의 격차는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GRDP의 근간이 되는 산업별 종사자 수의 격차가 곧 지역격차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지역 인구가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GRDP를 올리는 한 방법이다.

지난 10년간 경제활동인구는 연평균 54.0%가 수도권으로 이동하며 매년 전체 이동자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산업별 종사자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수도권 3.3%, 비수도권 1.2%,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시 3.0%, 구 2.3%, 군 0.5% 순으로 나타나 군단위 산업별 종사자가 가장 저조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 실정이다.

따라서 군 단위의 GRDP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성장 지역과 저성장 지역의 격차를 줄여나가는 균형발전이 GRDP를 끌어올리는 최적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낙후지역을 찾아내어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고성장 지역을 더욱 고성장시키는 것보다 GRDP 상승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지역내총생산이 지역의 소득수준을 정확히 반영한다고 확실하게 표현하려면 통계적 함정에서 벗어나는 것도 중요하다.

GDP는 지역과 상관없이 한 국가 안에 있으면 되지만 GRDP는 공장이 많아 부가세와 교통세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경제력인 GRDP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가를 더 정확히 파악하고 GRDP를 산출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전략과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얼마 전 닻을 올린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에 연고를 둔 굴지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전후방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면서 중소기업이 동반성장하는 산업생태계 조성이라는 경제성장 패러다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더불어 지자체간 행정구역의 장벽을 허물어 서비스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추구하기 위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되는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또한 중추도시를 중심으로 광역 또는 기초자치단체 구역을 초월한 연계협력으로 펼쳐지는 사업이라는 측면에서 충북 GRDP 4% 경제실현의 열쇠는 지역의 균형발전임을 반드시 인식하고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