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김대식 천안 ㈜다양푸드 대표

글로벌시대다. 지구촌이 국경을 초월해 하나로 묶이고 있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게 만든다. 우리 식탁은 어떤가? 호주산 소고기가 주부들의 사랑을 받고 있고, 전국민이 좋아하는 삼겹살은 벨기에산이다. 디저트용으로 캘리포니아산 오렌지가 자주 올라오고, 칠레산 포도와 체리가 제철과일을 대신한다. 가히 식재료의 혁명이 이뤄지고 있고, 새로운 식문화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과연, 이대로 좋은 것일까? 값싸고 맛 있으면 그만인 걸까? 올바른 먹거리, 건강한 먹거리를 주장하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보면, 푸드마일리지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푸드 마일리지란, 1994년 영국의 환경운동가 팀 랭(Tim Lang)이 창안한 개념으로, 식품이 생산된 곳에서 일반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식품수송량(t)에 이동거리(㎞)를 곱해 계산한다. 푸드 마일리지가 크다는 것은 결국 식품이 생산지에서 멀리 이동했다는 뜻으로, 이동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이 커지므로 결국 환경에 대한 부담도 커짐을 뜻한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2010년 기준 한국의 푸드마일리지는 7천85t/㎞으로 영국(2천337t/㎞)이나 프랑스(739t/㎞)는 물론, 가까운 일본(5천484t/㎞)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식품수입량이 계속 늘어나면서 매년 10%넘게 푸드마일리지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푸드마일리지가 증가한다는 것은 단순히 식품운송거리가 길다는 것만 의미하지 않는다. 장거리 운송을 하기 위해 식품의 변질을 막기 위한 인위적인 처리가 필요하고, 장기간 보관해야 하기에 식품첨가물등의 보존처리가 필요하다. 보관과 운송을 위한 시설이나 장비 등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추가배출은 불가결하다. 수입식자재의 범람으로 인한 국내 농축수산업의 위축, 농약 등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한 환경파괴, 지역경제 위축 등은 추가적으로 따라오는 부산물이다.

푸드마일리지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로컬푸드운동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움직임으로, 단순한 이동거리를 줄이는 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사회적 거리를 줄이고자 하는 운동이다. 줄어든 사회적 거리만큼 공동체를 복원하고, 공동체내의 신뢰관계를 회복해 믿을 수 있는 먹거리,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다.

유통과정이 축소되기 때문에 당연히 생산자의 농업부가가치가 증가하게 되고, 최종소비자의 장바구니 비용이 자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푸드마일리지를 고려하지 않고 상을 차린다면, 여기서 농민들이 얻는 이익은 8%에 지나지 않지만, 가장 푸드 마일리지가 적은 지역내 농산물을 직거래했을 때 농민들이 얻는 이익은 80%에 달한다고 한다. 침체된 지역농가를 살리고, 빼앗긴 식량주권을 되찾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이 로컬푸드다. 로컬푸드 중심의 지역농산물생산이 이뤄지면 대형 도매시장과 대형 할인점에 의존했던 생산구조가 최종소비자 중심의 생산구조로 바뀌어, 최종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작물위주 생산이 일어날 수 있다.

단순한 유행으로 끝나지 않고 로컬푸드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농축수산물들이 연중 지속적으로 출시될 수 있도록 농업개혁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한 농업기술의 향상과 식품가공기술의 보급 및 생산자에 대한 기술지도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각 지자체별로 산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로컬푸드운동을 적절히 통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 로컬푸드 통합시스템을 전개해 전국의 로컬푸드 직매장을 조직화해야 한다. 단순히 지역 농축수산물을 팔기만 하는 직매장이 아니라, 특산물구매/만들기체험/지역명소 체험 등 1차2차3차산업을 연계한 6차산업을 전략적으로 개발하고 각각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소비자들이 믿고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로컬푸드 직매장 판매물품들에 대한 안전관리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철저히 준수해야 하고, 변화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피드백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