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년전 7대 총선부터 진천·음성과 4차례나 합병·분할

괴산군은 '남부 3군 선거구'와 합병 대상으로 거론되며 정치적 고비마다 분할과 합병을 반복하고 있다. /뉴시스

[중부매일 한인섭 기자] 여·야가 합의한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기준에 따라 '남부 3군 선거구'와 합병 대상으로 거론되는 괴산군은 정치적 고비마다 분할과 합병을 반복한 변천사를 지니고 있다.

국회 의뢰를 받은 중앙선관위 국회의원선거구 획정위원회가 '획정 기준' 제출시점(25일 낮 12시)을 넘겨 아직은 유동적이다.

그러나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것처럼 인구 하한기준(14만명)에 미달하는 보은, 옥천, 영동 선거구(13만 7천647명)와의 합병이 현실화 될 경우 종전과는 전혀 다른 정치적 환경에 놓일 처지가 됐다. 진천·음성군과 합병하거나, 독립 선거구로 남았던 전례와 판이한 상황을 맞기 때문이다.

◆선거구·행정구역까지 4차례 풍파=중부매일이 지난 1967년 치러진 7대부터 19대 국회까지 48년간 변화한 충북 선거구 획정안을 확인한 결과, 괴산군은 모두 3차례에 걸친 선거구 변경을 경험해야 했다. 2003년 9월 충북도 증평출장소이자 읍단위 행정구역 이었던 증평이 꾸준한 '독립운동?'으로 분리된 것도 괴산으로서는 '상처'였다. 괴산은 선거구와 행정구역 축소까지 진행되는 등 모두 4차례에 걸친 풍파를 겪었다.

◆독립선거구였던 7대·8대 국회=소선거구제가 적용됐던 7대(1967년 6월)·8대 총선(1971년 5월)에서 괴산은 독립선거구로 선거를 치렀다. 당시 안동준 의원(민주공화당)에 이어 김원태 의원(민주공화당)이 당선됐다. 충북은 이 무렵 현재와 같은 소선거구제가 적용돼 8개 선거구였다. 7대 총선에서는 진천·음성과 옥천·보은, 영동군이 각각 단일 선거구로 국회의원을 뽑았다.

◆다시 진천·음성과 합병=9대 총선(1973년 2월)을 앞두고 중선거구가 도입되자 괴산군은 진천·음성군과 합쳐져 충북 제4선거구로 재편됐다. 9대 국회에는 이충환(신민당), 김원태(공화당), 10대 국회에서는 오용운(공화당), 이충환 의원(신민당)이 당선됐다. 충북은 4개 선거구로 나뉘어 2명씩 의원을 선출했다. 충주, 제천, 단양이 1개 선거구로 획정됐던 무렵이었다. 이같은 중선거구제는 12대 총선(1985년 2월)까지 이어졌다.

◆독립 선거구 회복=1987년 대선 이후 이후 야당을 견제하려는 민주정의당이 1988년 3월 소선거구제 국회의원 선거법 개정안을 1분만에 단독처리하면서 괴산군은 13대 총선(1988년 5월)에서 다시 단독 선거구로 재편됐다. 당시 여당 실세였던 김종호 전 의원의 '작품'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았다. 김 전 의원은 기세를 몰아 14대(1992년 5월), 15대 총선(1996년 5월)까지 거푸 당선됐다. 진천·음성군은 이 때 단독 선거구로 분리됐다.

◆진천·음성과 또 만난 괴산=김종호 의원의 아성처럼 여겨졌던 괴산 단독 선거구는 10여년만에 막을 내렸다. 16대 총선(2005년 5월)에서 괴산은 다시 진천·음성군과 하나의 선거구가 됐다. 이 무렵 인구 3만명 규모였던 증평주민들이 괴산과는 '생활문화권'이 전혀 다르다며 독립 요구가 거세지면서 괴산은 증평을 떼줘야 했다. 결국 2003년 9월 증평군이 출범했다. 결국 17대 국회에서는 증평, 괴산, 음성, 진천 4개 군이 중부 4군 선거구로 재편됐다.

이같은 선거구 변천사를 감안할 경우 괴산군의 남부 3군 편입은 지역민들에게 낯설고, 난감한 정치적 상황을 안길 게 뻔할 것으로 보인다.

임회무 충북도의원(괴산)은 "증평의 행정구역이 괴산에서 떨어져나가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 데다 선거구까지 변경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더구나 한차례도 경험하지 못했고, 지리적·역사적 배경이 다른 남부 3군과 통합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반발했다. / 한인섭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