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북테크노파크 전경.

최근 충북도 산하기관 중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는 2개 기관이 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충북경자청)과 충북테크노파크(충북TP)다. 충북경자청은 충북도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청주 MRO(항공정비) 사업이 무산되면서 이 사업의 실무 책임자인 전상헌 충북경자청장의 자진 사퇴론이 부각되고 있다. 충북TP는 남창현 원장의 임기가 한 달밖에 남지 않았으나 후임자 공모가 지연되고 있다.

이는 충북도와 산자부가 후임 인선을 앞두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전상헌 청장과 남창현 원장에겐 공통점이 있다. 모두 산업자원부 퇴직 공무원 출신이라는 점과 '낙하산'을 타고 내려왔다는 점이다. 낙하산 인사에 대한 폐해, '관피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우리사회에 폭넓게 확산되고 있지만 산자부는 아직도 권위적이고 구태의연한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03년말 출범한 충북테크노파크는 지역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미래성장동력산업 육성을 선도하며 신규사업 확보를 통해 지역산업진흥과 기업육성에 매진해 왔다. 또 대학, 연구기관, 지자체 등 혁신기관의 역량을 결집해 기업의 애로를 ONE-STOP으로 해결하는 기업지원시스템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반이 되는 산업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왔다.

초대와 2대 원장은 LG와 삼성 출신의 민간전문가가 맡아 충북TP의 기틀을 마련했다. 하지만 산자부는 지난 2010년 에너지안전과장과 중소기업청 벤처지원과장을 지낸 남 원장을 내세운데 이어 후임 원장도 산자부 출신을 밀어붙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물론 산자부 출신이라고 해서 반드시 배제될 이유는 없다. 업무성격상 산자부와의 원활한 소통과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나름 장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산자부는 남 원장이 국장급인데 반해 4급 공무원을 원장으로 추천한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TP를 산자부의 인사숨통을 틔워주기 위한 하급기관쯤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식이라면 충북TP가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울 것이다.

충북TP원장 임용 관련 규정은 임기만료 3개월 전에 산자부 4명, 충북도 4명으로 원장추천위원회를 구성, 인선 작업을 하도록 돼있지만 관련 규정대로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충북도는 지역출신 인사를 원하고 있으나 산자부는 자기 식구 챙기기에 골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시 산자부 출신인 전상헌 충북경자청장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낙하산 인사'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는 안봐도 뻔하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 '충북의 100년 먹을거리' 사업이라는 청주공항 MRO사업은 경자청의 안이하고 무능한 대응으로 혈세와 시간만 허비한 채 좌초됐다.

이번 기회에 충북TP원장은 산자부 몫이라는 잘못된 관행에서 탈피해야 한다. 산자부와 충북도는 충북TP가 급변하는 경제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향토기업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길 바란다면 고질적인 '관피아'의 고리를 끊고 전문성과 리더십을 갖춘 적임자를 조속히 선임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