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김대식 천안 ㈜다영푸드 대표

김대식 천안 ㈜다영푸드 대표

창조설과 진화설은 여전히 팽팽하게 의견대립이 있어왔고, 과학뿐만 아니라 철학의 영역으로까지 확산되는 물음이다. 최근의 과학기술, 특히 유전자공학의 발달에 따라 유전자가위라는 개념이 등장해, 유전자조작이 가능해짐으로써 새로운 종의 출현이 가능해졌고, 이에 대한 찬반논란이 뜨겁게 대두되는 가운데, GMO가 논란의 핵심으로 대두되고 있다. 세계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식량생산의 지역적 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이제 식물은 식량이상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식량안보가 주요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GMO란,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약자로 "유전자변형생물체"로 번역되는데, 1993년 몬산토의 소성장촉진호르몬(rBGH)과 1994년 칼젠의 넙치의 유전자를 넣은 무르지 않는 토마토를 시작으로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산업으로 현재 전 세계에 18개 작물, 108개 품종의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콩과 옥수수 등의 생산량증대를 위한 목적으로 제초제와 병충해에 강한 품종개량을 했던 것이 1세대 GMO라면, 2세대 GMO에 들어서서는 잘랐을 때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지 않는 사과, 튀겼을 때 발암물질이 적게 나오는 감자 등 기능성을 살리기 위한 작물을 개발하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상업적으로나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3세대 GMO의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외부에서 유전자를 끌어와 품종을 개량하는 것이 1세대의 기술이라면, 2세대에선 유전자가위의 활용을 통해 외부유전자를 끌어오지 않고 생물이 가지고 있던 나쁜 유전자의 제거를 통해 품종을 개량하는 기술로 더욱 안전해졌다고 과학자들은 자평한다.

씨가 없어 교배를 할 수 없는 바나나는 유전자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곰팡이에 치명적으로, 최근 멸종위기까지 몰리고 있는데 이 유전자가위기술을 이용해 곰팡이감염에 필수적인 수용체 유전자를 없애 멸종위기에서 바나나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한 논리로 바이러스에 강한 돼지, 알레르기없는 달걀 등의 생산을 연구중이라고 한다.

GMO는 육종기술중에서도 유전자변화가 가장 적고 안전한 기술로, 병충해저항성이 강해 농약사용을 줄일 수 있어 황폐화된 땅도 살려내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유전자변형사료를 먹은 실험쥐들이 40세대이상 사는 등 막연한 공포나 거부감에서 벗어나 식량부족을 해결할 획기적인 혁명이라는 찬성론자들의 의견이 지지를 받고 있다. 반면, 20년간 GMO를 섭취해 왔지만 유해성이 입증된 사례가 없다고 하지만 그간 GMO 독성에 대한 연구는 방치되어 왔던 게 사실이고, GMO작물이 오히려 병해충의 제초제내성을 강화시켜 결국 더 강한 제초제의 사용을 불러온다는 반박도 힘을 얻고 있다. GMO에 대한 연구자체가 기업의 지원으로 이뤄지는 현실에서 공정한 GMO연구를 기대하기 힘들며, 짧은 시간 동안 좁은 면적에서 실험한 결과만 가지고는 장기간 상업적으로 재배 시 나타날 부작용을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지적하기도 한다.

GMO상업화 20년을 맞고 있고, 식량자급율 23%에 불과한 대한민국. 기후환경변화와 강화된 자유무역 기조 속에 농산물시장을 개방한 후 한국의 2015년 GMO농산물 수입은 215만톤으로 국민 1인당 40kg의 GMO농산물을 소비했다. GMO가 유해하다, 무해하다 말은 많은데 벌써 시장에 널려있고 이를 섭취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니 답답할 따름이다. 다른 것도 아닌 식품이기에, 먹기엔 찝찝하고 안먹기는 힘든 이 상황.

내년 2월 정부는 GMO 표시제와 관련된 '식품위생법' 개정안을 시행하기로 했다. 식약처의 GMO 표시제도 확대를 위한 식품법개정안은 우리 사회에 GMO에 대한 사회적인 거부감이나 부정적인 인식이 기본적으로 깔려있음에 기인한다. 지난 20여년간 지속적으로 GMO의 안전성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으니 GMO가 포함되든 되지않든 소비자가 스스로 선택해 먹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이다. 최소한 식품에 GMO여부를 표시하고 소비자에게 섭취에 관한 선택권을 주는 것이 타당해 보이며,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줬다는 것으로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국민건강보호차원에서 학계가 됐든 규제당국이 됐든 조속한 시일내 GMO 식품의 안전성여부에 대해 속시원한 결정을 내려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