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 연관이 없습니다 / 클립아트코리아

충북인구가 해를 거듭 할수록 늘어나고 있다. 서울과 영호남의 인구가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충북은 13년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충북 인구가 150만 명(151만1천102명)을 넘어 선 것은 1964년 말이었지만 무려 반세기만에 160만 명 돌파했다. 늘어난 인구는 10만명 이지만 의미는 크다. 무엇보다 인근 세종시가 블랙홀처럼 충북, 대전, 충남 인구를 흡수했지만 충북의 인구증가는 멈추지 않았다. 최근 충북도가 발표한 지난해 충북 인구(외국인 포함)는 162만7천274명이었다. 전년(161만6천589명)과 비교해 0.65%(1만535명)가 증가한 것이다. 인구 증가율은 세종, 제주, 경기, 충남에 이어 5번째였다.

1970년대 이후 충북 인구는 등락과 부침이 심했다. 1966년 155만475명을 기록했지만 4년 뒤인 1970년 10만 명 정도가 타시·도로 이주하면서 충북도 인구는 145만3천899명으로 감소했다. 지역경제가 낙후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하다가 2007년 6월 150만73명을 기록하며 '150만 명 시대'에 재돌입했으며 다시 꾸준히 증가하다가 6년여 만에 160만 명 시대가 열렸다.

'영충호 시대'라는 신조어가 나올 만큼 충북인구가 꾸준히 증가한 것은 충남과 함께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대표적인 수혜지이기 때문이다. 2천년대 이후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의 파급영향을 받은 것은 물론 혁신도시(진천·음성), 기업도시(충주)가 잇따라 조성되면서 타시·도에서 사람들이 몰려왔다. 또 수도권에 인접해 충북의 산업인프라가 확대됐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오창과학산업단지와 오송보건의료단지가 조성돼 충북의 인구지도를 변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기업유치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고용창출과 인구유입이라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향후 전망도 밝다. 통계청 자료에 따려면 2035년부터 전국적인 인구감소현상에도 불구하고 2040년 충청·강원권과 수도권 인구는 현재보다 증가한다.

하지만 인구증가는 여러 문제점을 파생시키기도 한다. 시·군별 부익부빈익빈 현상을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개발호재가 많은 청주시, 충주시, 음성군, 진천군은 인구가 늘지만 나머지 지역은 극심한 인구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 노인인구도 심각한 문제다. 보은군, 괴산군, 영동군, 단양군, 옥천군등은 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초고령사회(노인 20%이상)로 분류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인구 163만시대의 도정전략도 이전과는 달라야 한다. 인구가 줄고 경제 활력이 떨어지는 시·군을 위해 어떤 발전대책을 세워야 할 것인지 깊이 고민해야 한다. 무엇보다 산업단지 기반과 교통인프라를 조성해 원활하게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충북의 경제적 비중이 전국대비 4%벽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인구가 늘어도 '영충호시대'는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