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박현수 숲해설가

한강의 황쏘가리 (자료사진) / 뉴시스

무심천 벌판에서 봄바람을 따라서 봄까치꽃이 영롱한 하늘 파란색의 꽃을 피웠습니다. 연 초록의 작은 별꽃들은 이미 몸을 피기 시작하고 땅에 붙어서 겨울을 나던 달맞이꽃들도 잎을 점점 세워갑니다. 어느새 작은 꽃을 피운 냉이는 향긋한 봄나물을 떠올리게 합니다. 봄이 오면서 무심천은 다시 활기를 찾아갑니다. 무심천 물속에도 겨울을 나기 위한 힘든 시기를 잘 보내고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봄에 만나야 할 물고기를 뽑는다면 누구나 좋아하는 쏘가리가 아닐까 합니다.

쏘가리의 어원은 '쏜다'라는 단어와 물고기를 뜻하는 '가리'와 합쳐진 이름입니다. 쏘가리는 50센티 이상 자라기도 하는데 몸은 납작하고 유선형이며 주둥이는 뾰족한 이빨이 있습니다. 그래서 물살이 센 곳에서도 쏘가리가 유영을 하며 먹이를 사냥하곤 하는데 육식어종답게 힘도 좋고 빠릅니다. 등지느러미는 뾰족한 가시가 있는데 이 가시에 찔리면 고통스럽고 아프기 때문에 쏘가리의 어원이 유래되었다고 알려졌습니다.

무심천에는 20센티가 넘는 개체가 몇 번 채집되었는데 무심천 중류인 도심지역에서 종종 채집되었습니다. 낚시꾼이라면 가장 탐내는 물고기로 예전에 강원도의 아우라지 강에서 쏘가리와 꺽지만 잡는 어부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다른 물고기에 비해 값이 비싸고 양식이 되지 않아 더 희소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한 회로 먹을 수 있는 민물고기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쏘가리는 맛이 좋아 물고기 중에 최고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중국에도 쏘가리가 서식하는데 당나라 시인 장지화는 "서새산 앞에는 백로가 나는데, 복숭아꽃 흐르는 물에는 쏘가리가 살찐다."라는 시를 남기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내수면 수산자원 포획 채취 금지 규정으로 인해 쏘가리가 가장 맛있다는 4월 말부터 5월까지 금어기로 채집을 할 수 없습니다. 어종별로 금어기를 선정한 것은 바로 산란철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산란철에 포획할 경우 개체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개체수 보존을 위해 국가에서 지정한 것입니다.

쏘가리의 몸에는 그물 모양의 표범무늬가 있습니다. 그래서 무늬가 아름다워 물고기 중에 가장 모습이 빼어나게 아름답다.라고 전해집니다. 서유구선생의(1764~1845) 『난호어목지』나『전어지』에는 봄에 복숭아꽃이 필 때 부쩍 살이 오르고 돼지고기처럼 맛이 난다고 해서 수돈(水豚)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비늘 문양이 아름다워 금린어(金鱗漁)라고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실제 쏘가리를 닭백숙처럼 끓여서 파는 식당이 있는데 뽀얀 돼지고기 국물처럼 생겼습니다.

황금색을 띠는 쏘가리들이 있는데 바로 천연기념물 190호로 지정된 한강의 황쏘가리입니다. 한강이나 임진강 등에 희귀하게 분포하는데 실제는 쏘가리와 같은 종입니다. 다만 멜라닌 합성이 결핍되어 오는 백화현상인 알비노를 보이는 개체를 말합니다. 보통 우리가 아는 백사(白蛇)와 비슷한 형질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겠습니다. 우리나라 한강에 싸는 쏘가리 집단에만 나타나는 이 백화현상은 황색, 황색과 흰색의 반 무늬, 흰색 등 다양한 패턴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쏘가리는 한 마디로 물에서는 표범이기도 합니다. 예전에 우리나라에는 표범이 살았는데 한국산 표범, 아무르표범이라고 불립니다. 표범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사람을 해치는 동물을 포획한다는 명분으로 1,000마리가 넘게 사살되었으며 현재는 산업화 시대를 겪고 우리나라에서 멸절이 되었다고 보입니다. 이제는 우리나라에 표범이 있는지 조차 살았던 것조차 모르며 살아갑니다. 수 만년을 살아왔을 표범의 흔적은 백 년도 되지 않아 사라져 버렸습니다. 쏘가리 역시 하천생태환경을 건강하게 지키지 못하고 지속적인 포획이 강행되어진다면 그 개체수도 위협받게 될 수 있습니다. 지금도 어디에서는 한 종의 종들이 사라져 가고 있을지 모릅니다. 우리가 쉽게 만나던 그 많던 생명들은 이제 박물관에서 박제된 모습으로 만날 날이 올 수도 있습니다. 분명 사라진 생명들도 그 생태계 안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다만 우리와 직접적인 연결이 되지 않아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지 모릅니다.

박현수 숲해설가

생태는 모두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얽혀있지만 그 끈이 하나 둘 사라지다 보면 모든 끈이 풀려 버릴 수 있습니다. 오늘도 우리는 주위에 다양한 생명들과 함께 하는 하루였고, 앞으로도 그러할 날일 것입니다. 봄바람 맞으며 그 생명들을 느껴보는 날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