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

지난 2015년 청주대 부실대학 2차 선정 당시 학교의 모습 / 중부매일 DB

대학사회가 구조개혁의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청주대 노조가 파업을 예고해 스스로 퇴출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 청주대는 최근 교육부의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컨설팅 이행결과 보고서 제출에 따른 실사를 받았으며 재정지원제한에서 벗어날지 여부는 8월 말이나 9월초에 결정된다. 이미 부실대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재정지원제한대학에 3년 연속 포함돼 미래가 불투명한 청주대는 노사가 대학의 체질개선에 역량을 겹집 시켜 난관을 돌파해야할 시기에 파업협상에 나서는 한심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는 대학정상화는 커 녕 대학의 장기적인 비전을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

대학구조조정은 모든 대학의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대학구조개혁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3년까지 대학입학정원 23만 명을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도입된 제도다. 정원감축을 위한 구조개혁기간(2014~2022)은 3주기로 나누어 주기마다 전국의 모든 대학을 평가하고 평가등급에 따라 최우수 등급을 받은 대학을 제외한 나머지 대학에 대해 차등적으로 정원을 감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속도와 방향이 다소 바뀔 수는 있어도 구조개혁의 근간은 변할 수도 없고 변해서도 안된다. 저출산이 심화되면서 학령인구가 감소해 2018년부터 대입정원이 고교 졸업자 수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되고 선진국처럼 대학진학률도 점차 하락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지방 사립대학들이 자칫 간판이 내려질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동안 청주대는 대학사회에 거세게 불어 닥친 변화를 감지하지 못해 외려 퇴보했다. 설립자 3세가 총장직을 장기집권하면서 혁신과 개혁을 외면한 채 내실 없이 대학의 볼륨만 키우면서 대학은 부실화됐다. 이 때문에 한동안 학내분규가 지역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지금 청주대는 변곡점에 서있다. 대학구성원들이 갈등과 대립하는 모습은 청주대에 도움이 안된다. 무엇보다 청주대 노조가 이 시점에서 임금협약 쟁취를 위한 파업을 논의하고 있는 것은 지역사회에 공감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역풍이 불 수 있다. 노조 측은 근속승진제 도입과 호봉제와 동일임금을 요구한 것으로 보도됐다.

이는 자동승진과 임금인상을 원하는 것이다. 청주대 직원들의 평균 연봉(6급기준)은 8천500만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연봉이 중위소득 기준 2천500만원(2015년 전경련자료)인 것을 감안하면 무려 세배가 넘는다. '귀족노조'라고 불러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자동차업계의 전방위적인 위기에도 불구하고 '밥그릇 챙기기'를 위해 파업을 결정해 여론의 질타를 받는 현대·기아차 노조를 연상시킨다.

청암(淸巖) 김원근과 석정(錫定) 김영근 선생이 70년전 전 재산을 투자해 청주대를 설립한 것은 젊은이들을 미래의 동량(棟梁)으로 키우려는 신념 때문일 것이다. 청주대에 닥친 현실을 감안하면 대학구성원들은 지금 파업으로 대립할 것이 아니라 힘을 모아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탈피해 부실대의 오명을 씻고 미래를 위한 밑그림을 그려야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