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북 제천 세명대학교가 경기 하남에 2캠퍼스 설립을 추진하지만, 개발제한구역에 발목이 잡히면서 좀처럼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7월29일 하남시 하산곡동 세명대 하남캠퍼스 이전 대상지 앞에서 제천시민들이 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2017.11.06. / 뉴시스

충북 제천에 소재한 세명대가 경기도 하남에 제 2캠퍼스를 조성키로 하고 행정절차에 나서자 제천시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제천시는 세명대가 일부 캠퍼스를 하남으로 이전하는 내용을 담은 대학 위치 변경 신청서를 이달 중 교육부에 제출하기로 하자 교육부를 상대로 하남캠퍼스 조성의 부당성을 알리고 있다. 하남캠퍼스 조성과 관련, 제천시와 세명대간 갈등은 두 번째다. 세명대는 지난 2015년 9월 하남 캠퍼스 조성을 추진하면서 대학 위치 변경 신청서를 교육부에 제출했지만, 제천시와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막혀 심의가 보류됐다가 작년에 반려됐다. 세명대 입장에선 답답한 상황이겠지만 제천시와 주민들도 팔짱끼고 바라보기엔 사안이 간단치 않다. 대학이 본격적으로 이전할 경우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침체라는 악순환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세명대가 재학생 8천명 중 2천명을 수용하는 제2캠퍼스를 경기도 하남에 마련하려는 것은 대학의 존립을 위해서다. '대학의 위기'는 이제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학령인구 감소가 발등에 불이 됐고 대학진학률도 점차 감소하고 있다. 출산률 저하는 학령인구 감소로 이어졌다. 인구절벽에 따른 입학절벽이 코앞에 닥치자 대학은 비상이다. 1년 전 치러진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이 최근 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무엇보다 중학생이 8.1% 감소했다는 점이다.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학구조조정에 나선 것은 충분히 예견된 일이기 때문이다. 대학으로서는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바로 이런 문제 때문에 학생모집에 불리한 지방사립대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친다. 충북 영동군과 지역주민들이 영동대의 교명(현 U1대.유원대) 변경을 둘러싸고 극심한 갈등을 겪은 것도 이 같은 문제 때문이다. 영동대가 충남 아산캠퍼스를 염두에 두고 교명을 변경하자 대학이 이전할 것으로 우려해 대학과 첨예한 대립을 보였다. 세명대와 유원대 모두 하남과 아산으로 캠퍼스를 일부 옮기면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지 모른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대학의 본질이 변해야 한다는 점이다. 대학의 혁신, 그리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질적인 향상을 꾀하지 않는다면 제2 캠퍼스가 대학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는 기대는 접는 것이 좋다.

더구나 제천시는 세명대를 위해 그동안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세명대와 협약해 매년 학생 3명을 공무원 임용후보 장학생으로 선발, 특별임용시험을 거쳐 뽑고 있으며 대학 사랑 가맹점'도 구축, 운영하고 있다. 심지어 장학금과 제천 전입 지원금을 주고 배낭여행 비용도 주고 있다. 물론 이 같은 지원이 대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대학은 지역과 상생을 통해 발전해야 한다. 수도권에 위치한다고 모든 대학이 생명력을 갖는 것은 아니다. 반면 지방에 있다고 성장력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4년 전 영국의 글로벌교육매체인 THE가 발표한 아시아 100대 대학중 국내 대학이 17개가 리스트에 올라갔으며 이중 4개가 지방에 소재했다. 제천시는 무조건 제 2캠퍼스 이전만 막을 것이 아니라 기업과 학교를 연결해 학생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장학혜택도 늘려야 한다. 또 세명대는 하남캠퍼스 이전예산을 대학에 투자해 경쟁력을 강화시키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