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클립아트 코리아

아무도 모른 채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이른바 '고독사'의 빈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12일 오후 충북 청주시 상당구 탑동 아파트에서 홀로 살던 70대 노인이 숨져 있는 것을 그의 조카가 발견해 112에 신고했다. 침대에 누운 채 발견된 노인의 시신은 상당히 부패한 상태였다고 한다. 이 노인은 숨진 지 열흘이 지난 상태였다. 지난달 26일 청주시 청원구의 한 원룸에서도 60대 초반의 남성이 숨져있는 것을 건물주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흔히 고독사라고 하면 노인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중년 고독사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 4월11일 청주시 흥덕구의 한 아파트에서 홀로 생활하던 40대 중반의 여성이 숨진 지 보름여 만에 발견됐다. 1인인구가 급증하고 이웃 간의 정이 사라진 자리에 각박하고 팍팍한 현실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안타까운 사례다.

고독사는 통계로도 증명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65세 이상 무연고 사망자는 1496명에 달했다. 한해 평균 300명의 홀로된 노인들이 외롭게 사망하고 있는 셈이다. 또 사회·경제적 상황으로 인한 청년 고독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고독사가 흔한 일이다 보니 이젠 방송뉴스에선 취급되지도 않는다. 앞으로는 사소한 교통사고처럼 신문 사회면에서도 사라질 것이다. 누군가 살아서 잊혀지고 죽어서도 외면당한다면 국가와 사회라는 공동체는 있으나 마나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 나홀로 가구는 488만 가구다. 10년 만에 90%나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 중 상당수는 노인이다. 당연히 고독사도 독거노인에 집중돼 있다. 2012년 65세 이상 독거노인은 119만명으로 전체 노인 589만명의 23%를 넘어섰다. 2035년에는 베이비부머의 이혼과 사별로 독거노인이 343만 명으로 늘어나 고독사는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다. 그나마 노인복지법과 지자체의 독거노인 고독사 예방 조례를 근거로 독거노인 중심의 지원과 보호조치만이 시행되고 있을 뿐,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의 고독사 원인에 대한 조사 및 지원 대책은 사실상 거의 없다.

이와 함께 숨진 뒤 시신을 인수할 가족이 없는 무연고 사망자도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실례로 충북에서 2013년부터 올해 6월까지 101명의 무연고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이 중 36명은 경제적 이유 등으로 가족이 시신 인수를 포기했다고 한다. 돈 때문에 가족조차 등을 돌리는 비정한 사회의 단면을 보여준다.

고독사는 고령화와 저출산, 개인주의로 인한 사회안전망 해체가 가져온 삭막한 현실이 우리사회에 닥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고독사를 방치하면서 복지국가를 내세울 수는 없다. 고독사는 우리 모두의 문제다. 1인가구의 증가추세에 걸맞는 사회안전망을 가동해야 한다. 또 정부와 지자체가 그물처럼 촘촘한 복지시스템으로 홀로 사는 노인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지 않는다면 일본처럼 고독사는 일상사가 돼버릴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