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9㎞ 지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15일 오후 서울 동작구 기상청 국가지진화산종합상황실에서 기상청 직원이 남재철 기상청장에게 여진과 관련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17.11.15. / 뉴시스

지난해 경북 경주에 이어 불과 1년 만에 포항에서 굉음을 동반한 지진이 발생했다. 포항 시 북구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작년 9월 12일 경북 경주시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지진 중 역대 두번째 규모다. 1년만에 역대급 지진이 경북을 강타한 것이다. 이날 지진으로 경북과 경남은 물론 서울과 청주에서도 건물 흔들림이 느껴지는 등 전국 곳곳에서 진동이 감지됐다. 일부 시민^학생들은 건물밖으로 뛰쳐나왔고 관계당국에선 신고전화가 빗발쳤다.

일 년 전 경주 지진의 악몽이 되살아나는 순간이었다. 기상청은 "계속해서 여진이 발생하고 있어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반도도 지진의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경주지진 이전 일 년 간 한반도에서 93회의 지진이 발생했다. 또 지진횟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도 있다. 강진이 발생하면 상상을 초월할 만큼 엄청난 피해를 낳는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인구밀집도가 큰 나라에선 피해규모를 예상하기 조차 쉽지않다.

세계최고 수준의 긴급재난 시스템을 갖췄다는 일본도 강진에는 무력하다. 지난 2011년 3월 9.0의 강진이 발생한 동일본은 지진으로 인해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해 사망^실종자 18,526명 건축물 파손 및 붕괴 39만 9,251가구에 40만명의 주민이 피난을 갔다. 그나마 다른나라에 비해 피해가 적은 것이다. 만약 비슷한 강진이 우리나라를 덮쳤다면 몇 배의 피해를 입었을 것이다.

일본은 인적^재산 피해뿐 아니라 경제도 막대한 타격을 받았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이른바 '6중고(重苦)'의 어려움에 처했었다. 지진 발생 이전부터 계속되어온 기업의 과중한 세부담, 무역자유화 지연, 노동 및 환경 규제, 엔高에 지진 이후 생겨난 전력난까지 가세해 한동안 기업 경영환경이 급격히 악화됐다.

이번 포항지진은 14개월 만에 역대 두 번째로 큰 지진이라는 점에서 국민 불안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수출효자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자동차등 산업현장의 생산라인과 주상복합아파트와 초고층빌딩도 위험에 노출돼 있다.

소방방재청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7.0의 강진이 서울에서 발생하면 전국적으로 사망자가 5만여 명, 부상자가 62만여 명에 달했다. 또 강도를 낮춰서 규모 6.5의 지진 발생 시에는 7000여 명이 죽고, 10만여 명이 다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강진으로부터 가공할 피해를 막으려면 일본처럼 대비시스템을 혁신적으로 바꿔야 한다. 예산을 투입해서라도 주요 단층지역 암반에 관측 장비를 설치해 지진을 초단위로 감지하고 리얼타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전 국민이 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지진예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공공시설의 내진설계도 보강해야 한다. 무엇보다 지진 같은 긴급재난상황에서 정부와 국민들의 소통을 강화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제 재난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우리의 현실이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