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주대학교가 오랜 갈등을 빚어온 대학당국과 교수회가 구성원들의 합의로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대화합 선언'을 한 가운데 21일 교내 청석관 대회의실에서 정성봉 총장(왼쪽)과 조승래 교수회 회장이 합의서에 서명한 후 교수들과 교직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김용수

청주대는 올해 설립 70주년을 맞았다. 한강이남에서 드물게 오랜 전통과 연륜을 갖춘 청주대는 한때 충북의 대표적인 사학이었다. 이 정도 역사라면 '명문사학'으로 위상을 재정립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다. 하지만 전통과 연륜이 있다고 대학이 명문 타이틀을 갖지 못한다. 청주대가 부실대학으로 추락하는 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았다. 지난 2014년 8월 정부 재정 지원 제한 대학 지정으로 촉발된 학내분규 사태로 청주대는 오랫동안 악순환을 겪었다. 학교 구성원간 불신과 갈등, 분열과 대립은 청주대의 트레이드마크였다.

이 때문에 청주대는 퇴출될지 모른다는 위기감에 휩싸이기도 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21일 청주대 정성봉 총장과 조승래 교수회 회장이 화합을 위해 손을 잡은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이다. 대학당국과 교수회는 그동안 지난(至難)한 갈등과 분열을 끝내고 학교 발전을 위해 상생협력 합의서에 사인했다. 특히 합의안 내용 중에는 총장후보추천규정안을 내년 3월말까지 도출키로 해 재단이 일방적으로 총장을 선임하는 것이 아니라 학내 구성원들이 총장을 뽑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는 대학운영에 교원 및 대학구성원의 민주적 참여와 소통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학 당국과 교수회의 극적인 대화합 선언은 당연한 귀결이다. 양측이 충돌하면 할수록 청주대는 깊은 수렁 속에 빠질 수밖에 없다. 대학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진학률 하락이라는 구조적인 사회변화 속에서 대학사회가 뼈를 깎는 혁신을 추구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 재학생 충원율, 취업률, 교원 확보율, 장학금 지급률 등이 낮은 부실 대학을 정리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구조조정은 지속돼야 한다는 논리는 이제 그 누구도 거부할 수 없다. 특히 서울소재 대학과 지방 국립대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방 사립대에겐 발등의 불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대학의 체질개선에 나서야할 청주대는 외려 그동안 사는 길이 아닌 걷지 말아야 할 길을 택했다. 장기 집권했던 김윤배 전총장은 대학을 부실화시켰으며 총학생회, 교수회, 노조는 물론 총동문회까지 나서서 대학측과 충돌을 빚었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 정상화는요원(遼遠)했다. 청주대가 퇴출위기에 직면한 것은 최악의 순간에 학내 구성원들이 역량을 모으기는 커 녕 내부 균열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이번 합의서 서명이 대화합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속단하긴 이르다. 이미 지난해 3월에도 대학과 노조가 노사 공동선언문'에 합의해 정상화의 전기를 마련했지만 대학이 크게 변한 것은 없다.

벼랑 끝에 몰려있는 청주대가 회생하려면 구성원들이 이번 합의를 기회로 대학의 현재와 미래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단합된 힘으로 대학살리기에 동참해야 한다. 청주대가 재학생들은 물론 수많은 동문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명문사학으로 도약하는 것이 도민들의 바람이다. 청주대에겐 더 이상 기회가 없다는 것을 대학구성원들은 명심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