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변화시키는 두 바퀴의 힘] 11. 자전거 천국 일본을 가다 下
생활밀착형 문화로 자리매김

쿄토시는 안전을 위해 자전거 좌측통행을 규정짓고 있다. 사진은 유동인구가 많은 교토시 시조 가와라마치 거리에 자전거 좌측통행이 표시된 모습. / 안성수

[중부매일 이완종·안성수 기자] 자전거 선진지인 일본은 이미 오래전 부터 자전거를 생활속에서 이용하는 교통문화가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각 지자체에서 자전거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각종 시책을 추진하는 등 자전거 활성화에서 앞장서며 이를 뒷받침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가장 큰 차이점은 '인식문제'

자전거 주차장 '주륜장'

일본은 전국적으로 자전거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전국의 자전거 보유 대수는 2013년 기준 7천100만여 대로 집계됐다. 이는 일본 전국의 차량등록대수 8천만여 대와 비슷한 숫자다.

또한 '자전거 교통 수송분담률'은 2010년에 이미 15%을 넘어섰으며 일부 도시권은 20%를 넘는 곳도 있어 우리나라의 전국 평균 수송분담률인 2.3%와 크게 비교되고 있다. 그만큼 시민들이 자전거를 이용하는 교통문화가 생활속 깊숙히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높은 자전거 보급률과 이용률은 생활밀착형 자전거 문화가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자전거의 7~80%는 '마마챠리'라 불리는 자전거다. 이 자전거는 3단~1단 또는 기어가 없으며 자전거 앞쪽 바구니가 달린 자전거다. 또한 아기를 태우기 위한 유아용 시트를 장착한 자전거 까지 화려하진 않지만 실용적인 부분을 강조한 자전거가 눈에 띄게 많다.

반면 한국의 경우 레저용 자전거가 대부분이다. 국내에는 대부분 자전거를 취미로 라이딩을 즐기는 동호인을 중심으로 레저용으로 발달됐다.

때문에 한국의 자전거는 자연스럽게 산악자전거인 MTB와 도로주행용인 사이클이 대다수다. 일본과는 다르게 실용적인 부분보다 기능적인 부분이 강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많게는 수 천만원에 달하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동호인들이 증가하며 '귀족스포츠'로 변모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국·일본 문제는 같아

자전거 주정차 금지구역 표시

그러나 한국과 일본의 자전거문화 확산에 따른 문제는 같았다. 일본은 자전거족들의 증가와 함께 교통 사고율도 꾸준히 증가세를 띄고 있다. 일본의 자전거 관련 사고는 2013년 기준 총 사고 약 12만1천건으로 일본 전체 교통사고의 5분의 1(19%)을 차지하고 있다.

사망건은 603건으로 전체 사망사고의 14%에 달하며 '자전거 보도 주행중 보행자와 접촉사고'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자전거는 차량'임을 인식시키고 도로교통법상 자동차에 준하는 엄격한 규제를 정해 교육하고 있다. 2012년에 자전거 차도 주행 및 보행자와의 분리를 위한 '양호한 자전거교통질서의 실현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또한 국토교통성과 경찰청이 공동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자전거 이용환경 창출 가이드라인'을 구축해 자전거주차장 증설, 공공임대자전거 등 인프라 개선에 힘을 싣고 있다.

여기에 시민들이 자전거 보도통행에 익숙해져 있는 점을 고려해 지속적인 계도, 홍보, 교육으로 '자전거는 차량'임을 인식시키고 있으며 차도에서 자전거 주행을 꺼려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차로 이용 캠페인 및 자전거 안전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중에 있다. 아울러 일부 지자체에선 '자전거 보험 등록'을 의무화 하며 자전거 사고에 따른 대책도 마련하는 등 '안전사고예방'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형 자전거 정책 만들어야

일반 가정집이 보유한 자전거

한국의 자전거 문화의 확산을 위해선 한국만의 자전거 정책를 형성하고 정착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자전거 문화는 이미 정책의 방향부터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에는 자전거를 통해 전국일주가 가능할 정도로 국토종주자전거길인 한강자전거길과 낙동강 자전거길, 금강자전거 길 등 내륙 자전거 도로망이 잘 구축돼 있다. 이를 이용해 한국형 자전거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충북도체육회 송석중 본부장은 "일본은 생활에 가까운 자전거 문화가 정착돼 있지만 한국은 레저용으로서 자전거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며 "때문에 한국과 일본의 자전거 정책의 추진 방향도 다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따라 한국은 일본의 자전거 정책을 모방하기보다 우리나라만의 특색을 살린 자전거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완종·안성수

※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