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연구원, 김명하 전문연구원 주장

택견 시연 장면 / 중부매일 DB

[중부매일 이지효 기자] 정부 주도의 무형문화재 선정과 관리 방식이 아닌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자치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해 선정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명하 충북연구원 북부분원 전문연구원은 충북 포커스 2017년 8호에 실은 '충북 북부권 무형문화재 현황과 향후 정책 방안'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전문연구원은 "문화재청의 국가무형문화재 통계자료에 따르면 충북도는 125개 지정종목 중 3개의 종목만 지정돼 다른 지역에 비해 지정 종목 수가 매우 적다"며 "충북지역의 무형문화재는 충북의 지리적, 역사적, 사회적 환경과 도민들의 삶 등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어 도와 시·군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김 전문연구원은 "특히 충북 북부권(충주·제천·단양)의 경우 다른 시군에 비해 국가지정문화재와 도지정문화재 지정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문화시설 지원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종목별 지역별 현황에 따르면 서울이 28개로 가장 많으며 전남 13개, 경기·경남 11개, 경북 7개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충북은 충남과 함께 3개가 지정됐으며 광주(1개)와 강원(2개) 다음으로 지정종목이 가장 낮은 지역이다.

지역별 보유자 현황 또한 광주(1명) 다음으로 대구와 충북도는 총 168명의 전국 보유자 중 3명만 지정돼 있다. 북부권에서는 충주시의 택견이 국가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돼 있으며 충북도 무형문화재는 충주시 4개, 제천시 1개, 단양군 3개 였다.

국가무형문화재 택견(충주)을 비롯해 비교적 많은 무형문화재가 북부권에 지정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장, 전수회관, 미술관 등 문화시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김 전문연구원은 "무형문화재는 유형문화재의 모태로 그 안에 내재돼 있는 가치와 잠재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며 "장기적 관점에서 무형문화재 보전과 관리의 주체를 정부가 아닌 지역사회로 위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김 전문위원은 "잠재적 가치를 가진 무형문화재 종목들을 집중적으로 발굴하고 전승자들의 자립을 위한 판로 개척과 메세나를 통한 기업과 연계가 적극적으로 추진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그는 "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잠재적 가치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광산업과의 연계 방향을 고민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공동체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시·군 또는 도 차원에서 다양한 참여자들이 관련 정보를 쉽게 수집하고 지역의 무형문화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