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뜨락] 김경구 아동전문가

/ 클립아트코리아

내가 살고 있는 동네는 시원한 도로나 아파트가 별로 없다. 대신 좁은 골목길과 기와집을 만날 수 있는 정겨운 동네다. 처음 이사 올 때는 기와집이 꽤 많았다. 하지만 그 이후 기와집 이 있던 자리에 2층 주택이나 원룸, 연립 등이 생겨났다. 그래도 여전히 옛 풍경을 만날 수 있는 따듯한 동네다. 이런 집에 따라 다양한 대문을 만나는 것도 재미있다. 대문은 비슷하면서도 나름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철대문도 있고 촘촘하게 나무를 잘라 만든 대문도 있고, 펜스대문도 만날 수 있다. 요즘 날씨가 푹 해지면서 대문 앞에 꽃 화분을 내 놓는다.

꽃 화분을 보다가 그만 눈이 둥그레졌다. 그 옆에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대문을 만났기 때문이다. 대문 안쪽에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하던 빗장이 있는 나무대문이었다. 모처럼 만난 그 대문을 한참 바라보았다. 낡고 작은 대문이었지만 세월을 먹은 흔적이 더 반가웠다. 초등학교 때 우리 집 부엌대문이 떠올랐다. 우리 집 대문은 함석대문이었고, 부엌문은 좁다란 나무문으로 빗장이 있었다. 또래들보다 키도 작고 몸도 작은 난 혼자 있을 땐 부엌문에 매달려 놀곤 했다.

그러다 심심하면 곱돌이나 운 좋게 구한 분필로 낙서까지 하면서 심심하지 않았다. 어느 순간 문도 힘들었는지 끼익끼익, 신음소리를 뱉어냈다. 한겨울 큰 고무함지에 목욕이라도 하는 날에는 부엌대문 빗장이 잘 걸려 있나, 확인하곤 했다. 고학년이 되면서 미술 선생님이 스케치북을 올려놓고 그리던 이젤이 무척 신기했다. 그러다 생각한 것이 바로 우리 집 함석대문에 빨래집게로 도화지를 고정해 놓고 그림을 그리는 거였다. 여름방학 숙제로 아주 큰 종이에 숲속 풍경을 그렸는데 이때 함석대문 이젤은 큰 역할을 했다.

수채화의 물맛을 마음껏 살릴 수 있었다. 함석대문에 걸린 내 그림을 멀리 가서 다시 가까이 와서 흠뻑 취했던 기억이 아련하다.

어머니는 마당 함석대문에 워낭 하나를 달아 놓았다. 그래서 누군가 오면 워낭소리가 울렸다. 오랜만에 집에 오시는 아버지의 함석대문 여는 소리는 참 반가웠다. 한 달에 한두 번 밤에 오실 때도 있었는데... 달빛에 울리는 워낭소리는 그저 아버지의 소리였다.

함석대문의 잠근 장치는 독특하고 단순했다. 빙글빙글 모기향 같은 또는 초등학교 때 숙제를 잘 하거나 시험을 잘 보면 선생님이 빨간 색연필로 빙글빙글 그려주시던 나이테 물결 같은 철사였다. 굵은 철사를 그렇게 만들어 빙글빙글 돌려 잠갔다. 허겁지겁 잠그거나 잘못 잠그다 철사에 찔리거나 긁히기도 했다.

이런 대문은 어떻게 보면 그 집의 느낌을 첫 번째로 알려주는 것 같다. 잘 키운 덩굴장미를 줄줄이 올린 대문, 더러는 능소화를 주절이주절리 늘어뜨린 대문도 있다. 어느 집 대문은 폴짝 뛰어 넘어갈 정도로 낮고 귀엽다. 다양한 대문이 있는 골목길은 걷는 재미도 좋다. 구불구불 정겨움이 묻어난다. 소박하지만 사람 사는 냄새도 솔솔 풍겨온다.

김경구 아동전문가

또한 대문은 사람들도 하나씩 갖고 있는 것 같다. 바로 마음의 문이다. 더러는 자신만을 위한 욕심을 채워 아주 가끔은 이기적인 문일 때도 있다. 내가 필요한 사람에게만 여는 문도 있다. 또 아무리 문을 두드려도 열어주지 않는 무관심의 문도 있다. 도움이 된다면 무조건 열어 주고 그렇지 않을 때면 굳게 닫아 놓는 문도 있다. 봄이다. 마음의 문과 대문을 좀 더 정성스레 닦아보자. 봄빛처럼 다가올 그 누군가를 위해 내가 먼저 문을 활짝 열고 따듯하게 반기는 건 어떨까.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