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장

강성주(오른쪽) 우정사업본부장과 이춘희 세종특별자치시장이 20일 세종시청에서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8.03.20. / 뉴시스

올 들어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의 주제가 '스마트시티의 미래'였다. 곧이어 국내에서는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스마트시티 기술을 도시 조성단계부터 계획적으로 적용하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2곳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부산 에코델타시티와 세종 5-1생활권은 5년 내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조성된다.

정부의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은 과거 U-city처럼 개별 주체 및 기술단위의 좁은 시각에만 머물러 중앙부처·지자체·기업·시민을 아우르는 일관된 추진체계나 국가차원의 전략이 부재했으며 이후 발전 없이 정체되어 왔다는 반성에서 출발하고 있다.

7대 추진방향의 키워드는 사람 중심, 혁신성장 동력, 체감형, 맞춤형, 지속가능성, 개방성, 융합·연계형 등이다. 세부적으로 도시성장 단계별 차별화된 접근, 도시가치를 높이는 맞춤형 기술 접목, 민간기업·시민·정부 등의 주체별 역할 재정립이라는 3대 추진전략을 설정했다.

세계 각국들도 스마트시티를 주목하고 있다. 이는 도시 거주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데서 기인한다. 2015년 세계 도시화율(도시인구/총인구) 54%에서 2050년 66.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는 인프라 부족, 교통 혼잡, 범죄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에너지 소비 증대로 환경오염 문제가 더욱 악화되면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는 난관에 봉착했다.

ITU(국제전기통신연합)에 의하면 스마트시티는 첨단 ICT 기술을 기반으로 현재와 미래 세대의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면서 도시 기능의 효율성 및 경쟁력,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도시를 의미한다. 결국 도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자 스마트시티가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관련한 시장 선점을 둘러싸고 각국의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은 500여 개의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총 사업비 1조 위안(약 170조원)이 투입된다. 인도는 2020년까지 150억 달러(약 17조원)를 들여 100개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다.

2017년 1분기 기준 한·중·일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약 70여개)는 유럽(약 80여개) 다음으로 많은 편이다. 스마트시티 시장은 향후 10년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0년까지 약 1조6천억 달러(약 1,7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장

국가별, 지역별 스마트시티 발전 전략은 각양각색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경쟁력 있는 ICT 기술을 토대로 한 신산업 육성, 중국은 경제성장과 도시 문제 해결, 일본은 재해 예방·에너지 효율 및 해외시장 진출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얼마 전 선정된 국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중 세종은 에너지·교통, 부산은 워터시티 컨셉·국제물류 연계성을 기본으로 다양한 생활체감형 기술을 함께 구현할 계획이다. 따라서 도시 성장단계와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수립과 적절한 솔루션 접목이 스마트시티 조성의 핵심인 셈이다.

충북의 경우 진천·음성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거점, 기존 도시 내 테마형 특화단지, 노후·쇠퇴 도심에 스마트솔루션을 접목하는 도시재생 뉴딜 등에서 지역 혁신과 미래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충북형 스마트시티를 찾아야할 시점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컨트롤타워 구축, 민간의 창의성 활용 제고, 개방형 혁신시스템 도입, 법·제도적 기반 정비 등을 포함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