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잖은 장마철이 다가왔다.

기상청은 올 장마가 예년보다 며칠 빨리 시작되고 기간은 짧을 것이라고 예보하고 있다. 그러나 장마이후에도 태풍과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심심찮게 찾아올 전망이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히고 있다.

해마다 겪는 일이지만 벌써부터 장마철 물난리가 걱정이다. 장마도 자연재해이고 보면 사람의 힘으로 막는데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지만 대처여부에 따라 피해는 줄일수 있다. 우리나라는 매년 장마철 수해로 평균 2백여명이 숨지고 5천억원에 달하는 재산피해를 입고 있다.

문제는 사전대비를 소홀하게 하는 바람에 피해를 키우는 人災(인재)가 적지않다는 것이다. 人災(인재)가 되풀이 되는 것은 근본적으로 정부나 지자체의 소홀한 수방대책에서 기인하지만 시민들의 안전불감증도 문제다.

수해복구비나 수방대책비가 현실화되지 않다보니 문제가 있는줄 알면서도 매년 땜질식 처방을 되풀이 하는 우를 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 96년 집중호우로 물난리를 겪었던 경기북부지방의 경우 경기도가 이런 재난이 다시는 없도록 하겠다며 수해백서까지 만들었다.

수해방지를 위해 수계별 홍수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고,수문기상 관측을 체계화하며 하천의 치수기능을 정비해 저지대 상습침수를 막겠다는 대책이 그것이다.

그러나 당시 유실된 연천댐 보강공사를 3년이 지난 지난해초에 시작하는 바람에 지난해 장마때 똑같은 피해를 입었다. 우리나라 여름기상 패턴이 대기불안정에 따른 국지성 호우로 자리잡아가고 있음도 가벼이 볼 사안이 아니다.

지구온난화 현상등 지구환경의 불안정에 따라 연간 강수량의 절반이 며칠 사이에 쏟아지는 천재지변성 호우가 잦아지고 있다. 때문에 어느 지역도 수해와 무관하다고 방심할수 없게 됐고 그럴수록 항구적이고 체계적인 재난대비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충북도내에도 현재 영동계산지구등 재해위험지구 53개소와 청원 떼제베골프장등 30개소의 대규모 공사장등 3백8개소의 재해취약시설이 있다고 한다. 또 부도업체에 쌓여 있는 산업폐기물도 대책없이 방치돼 있다.

장마가 시작되면 이들 산업폐기물 때문에 심각한 토양오염과 지하수, 하천이 오염될 것은 뻔한 이치다. 충북도에서 재해위험 요인을 사전에 해소하는 예방행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는 있지만 이 또한 연례행사임을 감안하면 이것으로 충분하다고 볼수 없다.

장마가 목전에 다가온 만큼 올해 만큼은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 각 자치단체는 지금부터라도 철저한 수방대책을 세우고 안전점검을 다시 실시하는등 만전을 기해 올 장마를 무사히 넘기는데 힘을 모으고 장기적으로 튼튼한 수방대책을 세워야 한다.

또 시민들도 스스로 호우에 피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위험지구를 살피고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 재해는 예고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