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프전이후 국제 휘발유값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산유국에서 재채기만해도 우리나라는 오일 독감에 걸릴 정도다. 텍사스산 중질유는 배럴당 35달러를 오르내리고 있고 북해산 브렌트유도 32달러선을 돌파하고 있다.

이러한 유가 인상이 이라크와 쿠웨이트의 분쟁에 있다고 하나 중동의 모래바람에 언제까지 전 세계가 놀아나야 하는건지 실로 답답한 일이다. 유럽 각국에서는 유가인상에 대한 항의 시위가 연일 벌어지고 있다.

그런 시위속에서도 유럽각국은 오일쇼크를 최소화하기위한 자구노력을 해오고 있다. 국민들도 기꺼이 동참하여 형광등 대신 촛불을 켜고 차량대신 자전거를 이용하는 추세다.
우리나라도 여러가지 에너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대분분 기존의 대책을재탕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차량 10부제 운행이라든지 호화사치성 업소의 네온사인 점등시간 단축, 목욕탕 주1회 휴무제 등 익히 들어본 소리다.

국민의 동참을 호소하는 이러한 대책은 어쩔 수 없는 상황속에서 나온 고육책으로 온 국민이 이를 따라주어야 할 사항이다.
그러나 가장 불만족스런 일은 유가파동의 몫을 전적으로 국민에게 떠넘기는 단편적인 대책에 있다. 국제 유가가 올랐으므로 부득이 국내 유가를 그만큼 올려야 한다는 대증(對症)요법적 논리다.

휘발유값은 벌써 ℓ당 1천3백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이정도의 유가는 IMF당시의 유가와 맞먹는다. 기름탱크에 연료를 주입할시 1∼2만원어치로는 연료 계기판이 눈꼽만치 밖에 움직이지 않는다.

게다가 LPG가격도 들먹거리고 산업용 전력요금도 ㎾h당 58원에서 20%정도 인상된 70원대로 오를 전망이다. 전기를 월 3백㎾이상 사용하는 다소비 가정에 대해서도 누진율을 적용할 방침이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국제 유가 인상에 대한 탄력성이 매우 부족하다. 미국에서는 비축유를 풀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비축분이 고작 한달정도여서 그럴 처지도 못된다.

이제 유가대책은 산유국의 모습만 바라볼때가 아니다. 비축분을 늘려 오일쇼크의 파장을 최소화 하는 장기적 대책을 세워야 할 때도 됐다. 또한산유국과의 외교를 통해 석유 유입 채널을 다변화하는 정책도 검토해 볼 일이다.

거시적 안목없이 에너지 대책을 세워봤자 늘 예전의 인상대책, 절약대책만 되풀이 할 수 밖에 없다.

유가 인상으로 가장 고통을 받는 계층은 역시 서민층이다. 상류층에서도그 충격파가 있겠지만 체감적 고통은 서민에게 크기 마련이다. 자동차가 생계수단인 많은 사람들에겐 휘발유값 부담에 허리가 휜다.

자전거를 탈래야 자전거 전용 도로가 미비하다. 또 자전거로는 짊을 실는데 한계가 있다. 자동차없이는 살 수 없는 세상인데 산유국에게 번번이발목을 잡히고 있다.

앞으로는 석유비축분을 늘이고 조력발전, 태양에너지 이용 등 대체 에네지 개발에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산유국의 널뛰기 장세에 덩달아 춤추고 한숨쉬는 일이 없어지길 희구해 본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