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기원, 전문가 양성노력 불구
농민체감·자체 기획력 부족해 절실

[중부매일 김성호 기자] 충북도와 도농업기술원이 4차 산업혁명 시대 농산업의 핵심 키워드인 스마트팜을 적극 보급하고 있지만 농민들의 체감온도가 크게 떨어지고 자체 기획력 등도 부족해 이에 따른 전문 교육은 물론 도 차원의 다각적인 전략 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더욱이 농업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노동집약적 농업방식이 한계에 직면하면서 향후 스마트팜을 기반으로 하는 농업은 블루오션 산업으로 분류, 이는 도가 더 적극적으로 스마트팜 보급에 나서야 하는 이유라는 지적이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농업의 생산, 가공, 유통, 및 소비 전반에 접목해 원격에서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을 관리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지능화된 농장이다. 적은 일손으로도 경쟁력 높은 첨단 농업을 주도할 수 있다는 얘기다.

통계청이 지난해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충북의 농가수는 2017년 말 기준 7만2천811가구로 전년(2016년) 대비 2.5% 감소했다. 충북 농가수는 도 전체 69만2천140 가구의 10.5%에 해당되고, 전국 농가 104만2천17 가구의 6.9%를 차지한다.

농업인구도 같은 기간 17만3천436명으로 도 전체 인구 159만4천432명의 10.9%, 전국 농업인구 242만2천256명의 7.2%다.

경지면적 역시 10만7천ha(전국162만천㏊의 6.6%)로 논이 4만㏊(전국 86만4천㏊의 4.6%)에다 밭도 6만7천㏊(전국 75만6천㏊의 8.8%)에 달하지만 생산성 등 농산업 경쟁력에는 의문 부호가 뒤따른다.

이에 도는 농업에 IoT(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 도입으로 청년유입과 전후방산업(가치사슬상에서 농산업의 앞뒤에 위치한 업종) 투자를 촉진하는 등 미래농업은 직관과 경험에서 벗어나 숫자와 데이터에 기반을 둔 정밀농업 실현이 필요하다고 보고, 현재 스마트팜 보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실제, 도는 2019년도 스마트팜 신기술보급사업 추진을 위해 16억1천400만원(30개소)을 책정해 놓고 있고, 원예분야(12개소, 11억4천400만원)와 축산분야(18개소, 4억700만원)에도 예산을 책정해 복합환경제어시설과 교육장 조성, 데이터 활용 관수 시스템 등에 투입하고 있다. 또 충북권역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를 운영하며 농가현황 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 작물 재배기술 및 ICT시설 활용 교육·컨설팅, 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선도사례 및 정책 홍보, 품목별 특화된 스마트팜 현장지도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지만 도내 곳곳으로 열기를 전달하는 데는 아직 역부족인 상태다.

이 때문인지 2018년 기준 스파트팜 보급 면적이 23ha에 머물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2022년까지 100ha로 확대해 지역의 대표품목·시설 유형에 적합한 스마트팜을 설계하고, 아울러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인 '스마트팜 혁신밸리(3월 선정)' 선정을 위해서도 현재 총력 대응 중이다.

청주시 청원 지역에서 쌀농사를 짓고 있는 A씨는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농사가 천하의 큰 근본)이라 했다. 식량 주권이 흔들이면 국가 전체 경제가 흔들리는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의 근본도 결국 농산업이다. 세계적 블루오션 산업인 농산업에 대해 전통적 농업도인 충북이 앞장서 대응해야 할 것"고 촉구했다.

충북도 농기원 관계자는 "앞으로 2세대(빅데이터 활용) 스마트팜 현장 실증 및 보급을 확대하고, 지속가능한 스마트농업 확대를 위한 스마트팜 전문가도 적극 육성해 현장 애로기술 사업화 등을 통한 스마트팜 보급을 확산해 나갈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융·복합 기술 보급으로 농산업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농작업 자동화·정밀화로 생산성 향상(30%)과 노동력을 절감(25%)할 것"이라고 했다. 

키워드

#스마트팜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