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원대학교 영동캠퍼스 전경.

전국은 물론 지구촌 전역이 코로나19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충북 영동군은 다른 문제로 큰 시름에 빠졌다. 지역의 내일이 달려있어 현재의 삶을 위협하는 코로나보다도 더 중차대할 수 있는 사안이다. 영동지역 거점이자 지역의 유일한 대학교인 유원대 본교의 정원감축이 그것인데, 부득이한 감축도 아니고 구조조정을 통해 충남 아산 캠퍼스로 정원을 넘긴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영동 본교를 쥐어짜 다른 캠퍼스를 키우겠다는 것인데 그동안 학교를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운 영동군민들은 배신감을 토로한다.

영동군민들이 강조하는 부분은 지난 2016년 교명을 바꿀때 학교와 지자체간에 맺은 협약을 지키라는 것이다. 본교 학생수 유지, 학과 이전 금지, 주요현안 사전조율 등을 골자로 한 협약은 대학과 지역간 상생발전의 기본 토대인 셈이다. 이같은 협약이 있기까지 군에서는 학교 통학버스 운영비, 교내 기숙사 건립을 비롯해 연계사업 등을 지원했다. 금액만해도 최근 5년간 47억5천여만원에 이른다. 영동의 열악한 재정상태를 볼때 파격적인 지원이다. 그만큼 지역으로서는 절박하고 중요한 일인 것이다.

이런 까닭에 영동군민들은 대학측의 결정에 당혹스러워하면서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본교의 특정학과를 통폐합하고, 아산 캠퍼스에 유사학과를 신설하는 방법으로 협약내용을 무력화시키는 대학측의 꼼수로 인해 영동 유원대학교 존폐를 걱정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런 과정이 거듭되자 군민들이 불안과 분노가 폭발하게 됐고, 철회 촉구 현수막 게시, 항의 방문 등 정원감축 반대운동이 본격화된 것이다. 반대 서명운동에 군민 2만3천700여명이 동참했다는 것은 지역 민심이 하나가 됐음을 보여준다.

지역민의 뜨거운 반발에도 대학측이 영동 대신 아산에 집중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그나마 수도권에 가까운 곳에 있어야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학정원에 비해 입학자원이 적어진 탓에 지방대학의 고사(枯死)가 시간문제가 된지 오래다. 그런만큼 대학으로서도 자구책이 필요하다. 문제는 한정된 입학정원도 못채우는 대입 현실에 있다. 갈수록 주는 신입생 채우기가 지방대 최대현안이 된 마당에 정원감축은 불가피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의 학과 구조로는 대학도, 지역도 위기를 피할 수 없다.

지역대학의 생존은 지역의 존립기반이다. 대학과 지역이 따로가 아니라는 얘기다. 조금 더 따뜻한 양지를 찾아 학과와 입학정원을 조정하는 꼼수로는 해결이 안된다. 새로운 학과와 강좌, 교육과정을 통해 새로운 인력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지역적 특화까지는 아니더라도 내일을 준비하는 분야와 나아갈 길이라면 지역과 관계없이 학생들은 모이게 된다. 지역민의 열화와 같은 성원을 최대한 살리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제 둥지도 지키지 못한다면 어느 곳을 가더라도 안착(安着)을 기대할 수 없는 노릇이다.

키워드

#사설 #유원대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