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김영철 ESD㈜ 대표·㈔충북스마트제조혁신협회 사무국장

스마트공장 제조혁신 추진 주체들이 모처럼 한자리에 모였다.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충청북도, 충북테크노파크는 지난 16일 충북 스마트공장 고도화 포럼을 개최했다. 코로나 19로 포럼 행사장의 참여인원을 최소화 하고 비대면 온라인 중계로 진행됐다.

이번 포럼은 제조혁신센터 관계자 및 도입기업, 공급기업, 기술위원 등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그동안 추진성과 분석과 제조혁신 협업 및 교류방안, 고도화 방안, 향후 개선방안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충북의 스마트공장 구축 실적을 보면 2020년에는 155개사 도입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으나 133%인 207개가 넘는 지원사업 성과를 거두었다.

국비확보 측면에서 보면 당초 162억원에서 추가로 53억원을 확보, 올 한해 지원금은 215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156개 스마트공장 구축 목표에 105%인 164개사 구축 실적을 보이는 등 매년 150~200여개사의 중소기업을 지원해 주고 있다.

도입기업 대표로 참석한 중소기업의 한 대표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대한 효과 부분을 인정을 하고 있다.

충북제조혁신센터 뿐만 아니라, 정부/지자체, 공급기업, 기술위원 등의 노력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이같은 성과는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역량 강화로 고용창출과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아쉬운 점도 많이 지적되었다.

코로나 19로 홍보나 지원활동이 미흡했는데, 새해도 걱정이다. 도입과정에서 사업추진 기간이 늦어지는 문제도 발생했다.

중소기업의 업종과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스마트공장 도입 기술도, 레벨도 제각각이다. 어떤 방법으로 어떤 기술을 도입해야 할 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걱정도 크다. 일부 실패한 사례도 있다.

실패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서는 전문가 그룹의 활동과 공급기업-도입기업간 미스매치 해소방안도 문제다. 공장 현장의 프로세스 분석 및 솔루션 활용방안 등 맞춤형 컨설팅의 필요성도 나왔다.

스마트공장 고도화 정책이 확대 추진되고 있으나 제조영역별 인공지능 도입 수준이나 환경이 미흡하다. 공급기업의 기술확보 수준이 다소 떨어진다는 우려도 있었다.

이를위해 스마트공장의 생태계 조성 방안이 시급한 과제임이 지적되었다.

수요기업과 공급기업간 요구사항이 다양하고 현실적으로 균형이 맞지 않는 부분도 있다. 중소기업의 실정에 맞는 시스템 구축 방향 설정 및 단계별 구축을 위한 컨설팅 자원도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동안 신규 구축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나 고도화, 사후관리, 컨설팅 등에 대해서는 균형있는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사후관리의 경우 수도권 기업이 구축한 충북의 일부 사업장은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충북의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은 지역 공급기업이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수도권과의 기술격차 등 물리적인 비교를 떠나 지역 공급기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원방안도 마련해야만 한다. 경남 등 일부 지자체는 지역 공급기업을 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고도화 정책에 대한 지역 공급기업의 준비상황도 소개되었다.

지역의 공급기업 중에는 업종에 특화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있지만 생산계획, 실행, 비전검사, 인공지능, 자동화설비, 로봇 등 공정별로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 장비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공급기업도 있다.

사단법인 충북스마트제조혁신협회의 2~3개 선도기업들이 모범이 되어 자체 협의체를 구성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협회 소속의 솔루션 기업과 자동화설비, 로봇·IoT(사물인터넷) 등 회원사간 공조체계도 갖추고 있다. 공급기업 스스로가 부족한 부분을 협업을 통해 보완하고 있다.

문제는 충북의 자원을 활용하지 않고 있는 점이다. 농공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충북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이 대표적인 사례다.

지역의 전문가 그룹이 배제되고 타 지역의 코디네이터들이 충북에서 활동하고 있다. 충북의 도비 지원사업에 지역의 전문가 그룹이 배제된 사업이며, 지역의 공급기업까지 좋지 못한 영향이 예상된다.

 김영철 ESD(주) 대표·(사)충북스마트제조혁신협회 사무국장<br>
 김영철 ESD(주) 대표·(사)충북스마트제조혁신협회 사무국장

충북형 생태계 구축이 그래서 필요하다. 지자체, 지원기관, 공급기업, 수요기업,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모으고 합의점을 찾아야만 한다.

생태계 구축은 구호에만 그쳐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