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신입생 정원 미달 사태가 대학들을 생존의 갈림길로 내몰고 있다. 신학년 개학을 코앞에 둔 지난달 27일까지 신입생 추가모집에 나섰던 대학들의 성적을 보면 처참한 수준이다. 추가모집에 학과의 존폐가 걸렸다는 얘기가 이제는 지방대만이 아닌 수도권 대학들로 확산됐다. 자원부족에 따른 수시모집 미충원은 정시로 이어졌고 결국 추가모집까지 미달되는 상황을 맞았다. 특히 대규모 미달사태가 일부 대학 등에서 사립대 전반으로 확산됐고 국공립대들도 추가모집에 애를 태우는 처지가 됐다.

2021학년도 추가모집 규모는 수능 개편이 있었던 2005년이후 16년만에 최대에 이르렀다. 전국적으로 162개교, 2만6천여명에 달했다. 충북의 경우 청주교대 한곳을 제외한 모든 대학들이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충원에 나섰다. 4년제 사립대학의 절반 이상이 200명 넘게 추가모집을 하고 심지어 몇몇은 그 대상이 500명 안팎이나 됐다. 충남도 비슷한 상황으로 2천여명 가까이 충원을 해야 했다. 남부지역은 상황이 더 심각해 전체의 절반 가량이 빈 경북과 부산, 전북 등이 미충원 규모 순위 앞자리를 차지했다.

이번 신입생 미충원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비교적 안전했던 서울·수도권까지 위험에 처했다는 점이다. 지난해에 비해 절반 가까이 늘어났는데 이는 곧바로 지방 명문대에 영향을 미쳤다. 충남대·충북대를 비롯해 지방거점 국립대 9곳이 추가모집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이런 상황은 지방 사립대에 치명적으로 작용하면서 연쇄적인 추가모집 확대로 이어지게 됐다. 결국 지금과 같은 학령인구 감소추세의 가장 큰, 가장 빠른 피해자는 지방 사립대가 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미충원 규모가 수백명에 이르는 대학 등에서는 파격적 장학금 등을 내걸었으나 결과는 무더기 미달이었다. 한정된 자원을 대상으로 한 만큼 경쟁력의 한계를 드러낸 셈이다. 충북에서는 충북대 등 단 3곳만 추가모집으로 정원을 채웠고, 충남의 일부 국립대도 끝내 전체 충원에 실패했다. 대학들로서는 뼈아픈 결과지만 2021학년도 전국 대입 정원이 수능 응시생보다 6만여명을 웃도는 가운데 거둔 성적치고는 나쁜 편은 아니다. 문제는 앞으로다. 10여년 넘도록 머리를 싸맸지만 뾰족한 대책을 찾지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문닫는 대학이 속출하게 된다. 정원 미달의 기로에 서면 부적합한 입학생 등 운영에도 문제가 생긴다. 당장 대학역량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게돼 처지가 더욱 곤궁해진다. 상투적이랄 수 있는 학과개편, 지역과의 협력을 허투루 생각해서는 안된다. 명문 국립대도 미충원을 못 피하는데는 학과에 방점을 찍는 요즘 진학추세의 영향이 크다. 지역자원에 대한 정책적 배려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생존의 길이 없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문제는 실천이다. 지방대의 생존기(生存記)는 이미 시작됐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