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안성수 정치행정부

최근 거리에서 전동킥보드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작년부터 대학교, 도심을 중심으로 하나둘 보이기 시작하더니 1년 새 청주에만 1천100여 대가 움직이고 있다.

청주의 경우 공유자전거도 없는 탓에 확산 속도가 다른 도시 대비 빠르다. 업체도 7곳이 경쟁을 하고 있다. 급속도로 확산된 만큼 관련 민원, 사고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학생 등 젊은 층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데 인도, 차도 구분없이 무법 질주를 하는 이들이 종종 목격된다.

뿐만 아니라 대학교 입구, 인도가 아닌 지역에 방치돼 있어 시민들의 눈살을 찌뿌리게 한다.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이용하라는 취지에 업체에서 별도의 주정차 라인을 만들지 않아서다.

안전모 착용, 2인 탑승 금지, 음주운전 금지 등 법에 저촉되는 행위에 대한 단속이 어렵다는 것도 문제다.

공유킥보드 업체는 인·허가 없이 운영이 가능한 '자유업'으로 구분된다. 업체간 경쟁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지자체의 관리를 벗어난 영역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각종 민원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등 문제가 제기되면서 지자체의 관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경기도, 세종, 청주 등에서는 이용 환경을 개선을 위해 업체와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 인프라 조성 협의에 나서고 있다.

안성수 경제부 기자
안성수 정치행정부

반면 공유킥보드가 이미 100여대가 넘게 깔린 제천, 충주의 경우 미온적이다. 아직까지 안전 가이드라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없다. 5월 관련 개정법이 시행되면 움직이겠다는데 그전까지의 민원 해결에 관심이 없어 보인다.

전동 킥보드같은 개인형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은 실생활 이동수단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만큼 다른 이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환경에서 이용해야만 한다. 이는 분명 지자체에서 적극 나서야 할 부분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