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김미정 세종·정부청사 담당 부장

[중부매일 김미정 기자]1.02% 대 6.64%. 국가기관 대 지자체의 2020년도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구매제 비율이다. 무려 6배 이상 차이가 벌어진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공공기관의 2020년도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실적에서도 국가기관은 38.2%인 반면, 지자체는 그 2배인 77%, 준정부기관은 3배에 달하는 93.7%였다. 공기업 83.3%, 지방공기업 59.9% 등 국가기관은 공공부문 최하위권에 속했다.

며칠 전 나온 환경부의 '공공부문 저공해차 의무구매 대상기관 차량 구매실적'에서도 국가기관은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저공해차 의무비율(100%)을 달성하지 못한 국가기관이 40%, 지자체가 45%, 공공기관이 18%를 차지했다.

이들 정책은 모두 국가기관인 중앙부처가 기획하고 계획을 수립하고 진두지휘한다는 점에서 가까스로 준수하는 중앙부처의 모양새가 아쉽다. 2050탄소중립, 미세먼지 저감, 더불어사는 상생 이라는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라, 지자체나 다른 공공기관에게 강요만 할 것이 아니라, 먼저 솔선수범하는 모습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해 사회적기업 제품 의무구매비율을 보면 상위5 안에 지자체 4곳, 재단법인 1곳이 이름을 올렸다. 경기도 화성시가 89.39%로 1위였고, 경기도 성남시가 55.43%, 광주시 서구 40.67%, 경기도 수원시 37.89%, 한국에너지재단 36.65% 순이었다. 국가기관 중 1·2위를 차지한 교육부(8.95%), 고용노동부(5.56%)의 구매비율은 이들에 비해 한참 낮았다.

김미정 기자
김미정 기자

국가기관, 지자체, 공기업, 준정부기관, 지방공기업 등을 아우르는 공공부문에서 리더는 국가기관(중앙부처)이다. 리더의 솔선수범은 구성원을 자발적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강력한 힘의 원천이 된다. 중앙부처들이 먼저, 조금 더, 모범을 보인다면 다른 공공부문은 더 크게, 더 좋게 바뀔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