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오늘날 농촌에 젊은이들이 유입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가 직장이나 소득보다 '자녀교육 입시문제' 때문이라는 것은 모두가 익히 알고 있다. 따라서 농촌교육 문제에 대해 먼저 철저하게 따져봐야 한다. 과거처럼 '개천에서 용나기' 어려운 지금, 농촌지역 주민은 경제적·지역적으로 더 소외돼 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약 1천개 이상의 폐교위기에 놓인 작은 학교가 있다. 도농균형발전은 말로만 이룰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다행히 우리농촌에서 함께 하는 작은학교의 성공사례가 나오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들을 유입하기 위해 학부모 주택 제공 및 일자리 알선, 특성화 교육, 전교생 해외연수 및 장학금 수여, 문화·의료·복지 분야 원스톱 서비스 구축 등이 지자체의 협조와 민간주도로 이뤄지고 있어 고무적이다.

그 결과 대도시에서의 지원이 늘어남은 물론 출산까지 이어져 마을이 젊어지고 살아나기 시작했다. 적절한 조건이 주어지면 농촌으로의 전입 수요는 폭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지역교육공동체'라는 새로운 교육모델도 제시돼 작은 학교들이 연합해 교육프로그램도 같이 만들어 교환하고, 상호 교환방문도 한다. 일종의 집락연합 구조를 만들어 농촌교육을 활성화 하자는 취지이다. 교육뿐만 아니라 주거, 일자리, 문화, 경제, 귀농귀촌 등 제 분야에서 협력구조를 구축해 농촌학교를 희망의 공간으로 함께 만들자는 데 뜻을 모은 것이다.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무엇보다 창조적 상상력과 지역리더십으로 농촌학교를 희망의 공간으로 탈바꿈 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그 성과는 작지 않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농촌지역에 지역 거주 자녀만 진학할 수 있는 명문학교와 명문학군으로 만들어야 한다.

우리 농촌의 교육 보장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제시하고 지원해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앞날을 위해서도 매우 값진 일이다. 농업계는 지금이라도 당당히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