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광역경제권을 바탕으로 한 메가시티 추진과 맞물려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주목을 받고 있다. 광역경제권으로 볼때 충청권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방은행이 없는 권역이다. IMF사태 직후인 지난 1998년 충청은행이, 이듬해 충북은행이 사라지면서 지역금융의 구심점이 없어진 것이다. 국가재정이 거덜날 정도로 금융위기였던 당시에는 어쩔수 없었다하더라도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지역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지방은행은 반드시 필요하다. 게다가 충청권 전체를 아우른다면 경쟁력면에서도 가능성은 충분하다.

지방은행의 기반인 경제규모 면에서 충청권은 장족의 발전을 이뤘다. 충남이 서울, 경기에 이어 지역내총생산 전국 3위에 오른게 이미 수년전이고 충북은 성장률에서 전국 최상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내 자금순환의 중심이 되는 지방은행이 없다보니 늘 자금 역외유출이 문제가 된다. 충청권 4개 시·도가 함께 겪는 이 상황의 가장 확실한 해법이 지방은행 설립이다. 이런 까닭에 이미 지난 2012년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추진됐다. 하지만 지역간 이견에 발목이 잡히면서 그 꿈은 무산되고 말았다.

이같은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에 대한 요구가 올들어 다시 불붙었다. 내년 대선 등 정치상황이 반영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충청권 앞날을 위해 꼭 있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이에 충남도에서 지난 6월 토론회를 개최하고 포럼 등을 통해 당위성을 알리고 있다. 또한 충청권 4개시·도가 조만간 행정협의회 의제로 다루는 등 공동대응을 펼칠 예정이다. 이처럼 은행 설립에 지역의 관심이 쏠린 가장 큰 이유는 메가시티 추진에 있다. 경제공동체를 위한 지역금융 기반으로 지방은행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은행업계의 현실은 만만치가 않다. 대형 시중은행들이 점포수 줄이기에 들어간지도 한참이다. 온라인 금융거래가 대세인 만큼 앞으로의 상황은 더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의 전망이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밝지만은 않다. 설립 추진이 이뤄져도 갈 길은 멀기만 하다. 정부의 인가와 맞물려 있는 투자자 모집부터 시설망 구축은 기본이고 시장 점유를 위한 운영전략은 큰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온라인 플랫폼을 고려한 전략적 투자유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여기서 비롯됐다.

광역경제권으로 가는 마당에 지방은행 설립은 지역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다. 최근 충청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압도적인 찬성을 보인 것도 같은 이유다. 명분을 갖추고 여건이 무르익었으면 이제 실행에 들어가야 한다. 4개 시·도가 앞장서 지역산업계와 투자자를 이끌어야 한다. 또한 충청권 전체의 목소리로 이를 뒷받침 해야 한다. 지방은행 설립이 지역의 미래를 위한 투자인 만큼 머뭇거려서도 안되지만 서두를 일도 아니다. 충청권 전체를 대상으로 멀리, 넓게 보면서 꼼꼼하게 하나씩 풀어 나아가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