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미래라고 할 수 있는 지방대학의 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출생률 급감에 따라 신입생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이제는 생존의 문제가 됐다. 특히 전국적으로 입학생수가 50만명선이 무너진 2021학년도는 그 심각성을 확인시키는 한편 해결의 시한(時限)이 다가왔다는 최후의 경고나 다름없다. 지역의 생존과도 직결된 지방대학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지역이 모두 나서야 한다. 대학만의 문제도, 교육당국에만 맡길 일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위기의 지방대학을 지켜내기 위해 지역의 모든 힘을 모아야 한다.

지난 16일 열린 '위기의 지방대학' 토론회는 이를 공론화하고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지방대학들이 살아남기 위해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지역산업의 뒷받침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입학자원이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서 지역출신들이 자발적으로 찾고, 지역산업계의 인력수요를 감당하는 대학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금의 백화점식 교육과정을 특정분야로 집중해 입학과 취업을 연계시키는 방안이 제시됐다. 결국 지역과의 밀착이 지방대학 생존의 해법인 셈이다.

물론 이같은 방안은 시간이 걸리고 그에 따른 준비가 선행돼야 한다. 대학에만 맡겨서 될 일도 아니다. 교육당국과 정부의 정책방향이 먼저다. 대학의 위기감이 고조되자 지난 5월 발표된 구조조정안으로는 해결이 안된다. 회생불능에 이른 대학들을 솎아내겠다는 게 전부다. 나머지는 대학들이 알아서 하라고 한다. 문제해결에는 손을 안대고 뒷정리만 하겠다는 얘기다. 이럴 경우 퇴출명단 앞자리는 모두 지방대학이 차지할 수 밖에 없다. 솎아내기 전에 지방대학이 살아갈 최소한의 장치와 길을 열어주는게 순리다.

지금의 정책만 봐도 지방대학의 어려움은 가중될 수 밖에 없다. 학생 1인당 지원금규모를 보면 수도권 대학이 지방의 2배가 넘는다. 구조개혁평가에 따라 줄어든 정원의 77%가 지방대학이다. 이는 곧바로 대학 재정악화를 불러 현재의 평가가 계속되면 지방대학의 생존 가능성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더구나 평가기준 자체가 대규모 대학에 유리해 정원감축에 내몰리게 될 지방 등 중소규모 대학의 앞날은 더욱 어둡다. 이럴 경우 대학의 경쟁력 제고는 뒷전일 수 밖에 없고 이는 국가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줄어드는 자원보다도 지방대학을 더 벼랑으로 내모는 게 수도권 위주 정부정책이다. 인구와 자본의 집중은 일자리와 기회의 편중을 낳고 비수도권은 고사하게 된다. 그러나 지역이 살지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 지역생존 근간 중 하나인 지방대학이 무너지면 국가의 내딜도 없다. 지방대학도 생존차원에서 지역의 가치를 보고, 함께 해야 한다. 당장 협력강화에 나서야 한다. 지방대학과 지역이 하나라는 생각으로 상생의 길을 가야 한다. 지역이 지방대학 위기 해결에 앞장서야 하는 까닭도 모두의 생존이 걸려 있어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