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야간에도 운영되는 충북 영동군 한 무더위쉼터. 개인별 잠자리와 폭염대비물품을 제공한다. / 충북도 제공
영동에 위치한 무더위 쉼터. /중부매일 DB

이례적으로 짧았던 장마 탓에 폭염으로 인한 때이른 고온현상이 한반도 전역을 달구고 있다. 충청권 역시 지역을 가리지 않고 낮 기온이 35도에 이르고 열대야가 지속되는 무더위가 십수일째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온열피해 역시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데 급기야 충남에서 올해 첫 온열질환 사망자가 발생했다. 게다가 가축 폐사가 잇따르면서 벌서부터 피해가 어느정도 될 지 걱정이 앞선다. 이에 각 지자체들이 긴급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 예상돼 사전대비에 대한 아쉬움이 적지 않다.

아직 7월인데 온열질환자 발생은 예년의 8월말 수준이다. 전국적으로 사망자가 이미 두자리수를 기록하고 최근 일주일새 환자 발생이 10배 가량 늘어나는 등 피해가 너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더구나 올 여름 무더위 기세가 남다를 것이란 예보여서 더욱 긴장할 수 밖에 없다. 폭염이 식을 줄 모르는 날씨만으로도 위협적인데 코로나19로 인한 방역 수칙은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 어느때보다 온열피해에 대한 우려가 큰 이유다. 따라서 폭염대비책 또한 이에 걸맞게 다양하고 강화된 것이어야 한다.

당장 여름철 효자인 무더위 쉼터는 올해도 이용이 쉽지 않지만 대책은 없다. 거리두기 상황이 어려워질수록 쉼터는 멀어져만 간다. 노년층이 폭염에 더 취약한 만큼 별도의 대책마련이 지난해부터 요구됐지만 중앙정부도, 지자체도 마냥 미루기만 하다가 발등의 불이 됐다. 집밖을 나서기 어려운 어르신들에게는 재난도우미가 큰 힘이 된다. 그러나 이 또한 날씨에 따라 달라지는 상황을 수용하기에 벅차다.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운영은 기대할 수 없다. 기존 대책의 반복만으로는 변화에 무력할 뿐이다.

가축 피해는 사육농가의 몫이기는 하지만 집단적 피해나 광범위한 피해는 지역적, 사회적 문제가 된다. 각종 가축전염병 사태 때마다 확인할 수 있듯이 수급균형이 무너지면 농가는 물론 수요자들도 피해를 입게 된다. 지자체에서 관심과 지원을 펼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올 상황은 시작부터 간단치가 않다. 가장 취약한 양계장의 경우 폐사가 속출하고 있고 가두리 양식장들은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둘 정도다. 이미 주의보를 넘은 해수온도는 조만간 집단 폐사가 불가피한 경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폭염 상황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더 시급한 코로나19에 매달릴 수 밖에 없다. 확산세가 들쭉날쭉했으나 구멍뚫린 백신확보 등 드러난 4차 대유행 조짐을 감안하면 코로나속 폭염은 예상이 가능했다. 물론 닥쳐온 이상기후를 사람이 어찌할 수는 없지만 예상되는 범위내에서 당연히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했어야 한다. 더 큰 문제는 올해로 끝날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내년과 그 이듬해에도 같은 일이 반복될 수 있다. 지금이라도 상황 변화에 맞는 강화된 폭염대책을 세워 즉각 시행해야만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