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고 빠르게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찾을 수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박제영(왼쪽)·신기영·오동엽 박사가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배양 키트'를 들고 있다. /대전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박제영(왼쪽)·신기영·오동엽 박사가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배양 키트'를 들고 있다. /대전 한국화학연구원

[중부매일 박재원 기자] 국내 연구진이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특정 미생물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키트를 개발했다.

대전 한국화학연구원은 오동엽·신기영 박사팀이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일주일 안에 찾아낼 수 있는 '스크리닝 키트'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플라스틱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해 자연 분해가 잘 이뤄지지 않지만, 특정 미생물들은 분해 효소를 분비해 플라스틱을 영양분으로 섭취한다.

플라스틱 조각을 흙이나 강·바다에 놓고 썩을 때까지 기다린 뒤 주위 미생물을 채취해 배양하는 방법이 있으나 잘 썩지 않는 단점으로 연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화학연이 개발한 키트는 1주일 안에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찾아낼 수 있다.

방식은 미생물이 살 수 있는 키트에 플라스틱을 녹인 용액을 스프레이로 뿌려 마이크로 사이즈로 코팅한 뒤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는 강물이나 해수, 흙탕물 등을 뿌리면 특정 미생물이 플라스틱 코팅 부분을 먹어치우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플라스틱이 없어지고 난 뒤 키트에 남은 미생물들을 채취하면 플라스틱에 반응하는 특정 미생물을 찾아낼 수 있다.
 

플라스틱 마이크로 스프레이 선별배지 제작과 미생물 분리 과정. /대전 한국화학연구원
플라스틱 마이크로 스프레이 선별배지 제작과 미생물 분리 과정. /대전 한국화학연구원

연구팀은 시험과정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하수 처리장 및 토양에서 3일 이내에 추출하기도 했다.

이 미생물을 배양해 100마이크로 두께 필름을 먹이로 줬을 때 이를 2주 안에 분해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키트를 활용해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균주를 다양하게 확보하고 대량생산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미생물이 어떤 방식으로 플라스틱을 분해하는지 연구해 생분해 플라스틱 제조 기술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오동엽 박사는 "해외 연구실은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리스트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국가적 자산으로 확보하고 있다"며 "키트가 상용화되면 국내 연구실도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빠르고 쉽게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