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매일 박재원 기자] 국내 연구진이 조선시대 이중환의 '택리지' 등을 연구한 결과 그린란드 해빙이 조선시대 해수면 변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국토지질연구본부 남욱현 박사 연구팀이 조선시대 염전 위치에 따른 소금 생산 지역과 수송 경로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1500년대 초반에서 1700년대 중반에 걸쳐 전북 고창군 곰소만 해역의 해수면 변동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지봉유설(1614), 택리지(1751), 지방지도(1872) 등 고문헌에 나와 있는 전북 고창군 곰소만 해역의 염전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곰소만으로 흘러드는 갈곡천 하류의 시추 조사를 통해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 갯벌 흙이 공기 중에 노출돼 만들어진 고토양을 발견했다.

고(古)토양은 퇴적암에 남아 있는 옛 지질 시대에 생성된 토양으로 과거에 조사 지역이 지표면이었음을 밝히는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

시추 조사 자료도 정밀 분석해 1530년 무렵 염전 위치가 해안에서 800m 떨어져 있었고, 가장 높아졌을 때의 수위는 1.6m 정도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서해안의 평균 해수면은 지구온난화 등 인위적 영향으로 매년 1.31mm씩 높아졌고, 이번 연구결과로 1500년대 초반에서 1700년대 중반의 서해안에는 자연적 요소에 의한 비교적 큰 폭의 해수면 변동(매년 1.3~1.4mm 정도)이 있었음을 추정했다.

곰소만 지역의 해수면 상승 복원 연구는 한반도의 해수면 상승이 소빙기 말(1850년 무렵)보다 더 일찍 시작됐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고, 특히 1700년대 초 그린란드 빙하의 해빙이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상승을 유도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남욱현 박사는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서해안에서는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후속 연구를 통해 미래의 해수면 변동에 대비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중심으로 경북대, KAIST, 인하대, 미 터프츠대학 등의 연구진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