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김미정 세종정부청사 담당 부장

[중부매일 김미정 기자]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요즘 주목받고 있는 '메가시티' 구축 움직임을 보고 있으면 이승만 전 대통령의 이 말이 오버랩된다. 지방끼리 뭉쳐야 서울에 맞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상황이다. 그만큼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서울과 지방의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얘기다.

메가시티가 각광을 받는 데에는 수도권 편중을 완화하고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결한 대안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지방소멸위기를 극복할 돌파구이자 국가균형발전과 지역상생발전을 이끌 해법이라는 점에서도 기대가 크다. 국토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살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산업 등 모든 분야가 수도권에 쏠려있다. 100대 기업 본사의 95%, 전국 20대 대학의 80%, 의료기관의 52%가 수도권에 몰려있는 반면, 지방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기 때문이다.

다시 메가시티 개념부터 보자. 메가시티란 거점도시가 중심이 되어 인구 1천만명 이상의 광역경제권을 말한다. 행정적으로 시·도로 나뉘어있지만 생활, 경제, 문화 등이 기능적으로 연결돼 일일생활권이 가능한 거대도시를 말한다. 서울에 준하는 거대도시를 만들어 경쟁력을 키우자는 취지다. 부산·울산·경남이 가장 앞서나가고 있고, 대구·경북, 광주·전남,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4개 권역에서 메가시티를 추진중이다. 정부도 전폭적 지지를 약속했다.

하지만 메가시티 구축이 말처럼 쉬운 일도 아니고 기대하는 것처럼 꽃길만 펼쳐지기도 만무하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지난해 11월 충청권 행정협의회에서 메가시티 추진에 합의했다. 하지만 좀처럼 추진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충청권은 다른 권역보다 광역지자체가 1개 더 많다. 이는 자원, 산업, 인프라 등에서 긍정적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지만 갈등·분열의 요소가 될 수 있다. 머릿수가 많을수록 합의가 어렵고 길어지기 마련이다. 실제로 부·울·경은 메가시티 이름을 정할 때부터 3개 지자체간 갑론을박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메가시티를 이끌 특별자치단체 단체장 선임도 각 시·도 단체장이 겸임할지, 1명을 대표로 세울지 합의할 사항이다. 각 지자체마다 정치적 입장이 첨예할 것이라는 건 불 보듯 뻔하다.

김미정 기자
김미정 기자

대전·세종·청주·천안 등 거점도시 이외에 주변부 중소도시들과 농촌 소도시들은 소외될 우려도 있다. 단순한 행정단위간 통합을 넘어 주민간 통합, 사회·문화적 공유도 뒷받침돼야 한다.

충청권은 메가시티 구축을 통해 2040년 인구 600만명, 전 지역 50분 생활권, 국내외 기업유치 2천개, 신규 일자리 3만4천개 창출 등을 기대하고 있다. 국회의사당(분원)과 45개 중앙행정기관이 있는 신행정수도(세종시)를 품은 충청권은 행정수도 완성과 연계해 차별화하는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이제 충청권 메가시티가 성공하느냐는 충청권이 얼마나 똘똘 뭉치느냐에 달려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