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김영철 ESD㈜ 대표·㈔충북스마트제조혁신협회 사무국장

새해 예산이 확정되었다. 코로나 위기극복과 국민들의 일상회복, 새로운 성장동력을 준비하는데 607조원을 지출한다.

당초 정부예산안 604조원 보다 3조원이 증가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정부는 전체 세출예산의 70%를 상반기에 배정하고 코로나 위기 극복과 경제활력 조기 회복에 뒷받침 하기로 했다.

총 지출의 부처별 규모를 보면 보건복지부가 가장 크고 이어 교육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이다.

반면 기획재정부나 산업통상자원부, 방사청, 농림축산식품부 등은 증가율이 낮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분야별로 보면 교육분야, 환경분야, R&D분야, 보건·복지·고용분야 등이 수요증가로 늘어났고 공공질서, 안전, 농림수산식품, 문화체육관광분야, 산업·중소기업·에너지분야 등은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문제는 지역의 영세한 중소기업 육성전략이다. 전국의 스마트제조혁센터를 통해 지원되는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을 꼽을 수 있다.

새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의 전체 지원규모 3천9백억원에서 무려 350억원이 감액되었다.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사업의 경우 지원단가를 인하하도록 했다.

반면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 지원대상은 다소 증액되었고 중부권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 신규 구축도 추진된다.

제조데이터 활용을 통한 디지털 제조혁신 전환과 스마트 제조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혁신데이터센터 구축도 증액되었다.

코로나 위기극복과 탄소절감을 위한 예산증가로 일부 부처의 예산이 줄어들거나 증가율이 낮은 상황을 감안하면 이해도 된다.

그러나 중소 제조업체의 경우 직접 지원효과가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지원사업의 감소에 울상이다.

그동안 정부는 첨단 산업강국 도약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접목하고 친환경, 차세대 기술 및 서비스 개발에 나서고 있다.

스마트공장의 경우 2022년까지 저변확대를 위해 3만개 스마트공장 구축을 목표로 차근차근 추진한 결과 목표 달성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와 탄소중립 달성, 생산성·고용증대, 인공지능·빅데이터 분석 활용 등 직접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한 효과 분석을 다시한번 고려해 보아야 한다.

중소 제조업체의 스마트공장 도입 성과를 보면 생산성 28.5% 증가, 품질향상 42.5% 증가, 원가감소 15.5%, 납기준수 16.4%, 고용증가 평균 2.6명, 매출액 증가 7.4%, 산업재해율 6.1% 감소 등으로 조사됐다.

최근에는 대기업의 제조혁신 노하우를 중소기업에 전수하고 제조업 전반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중소 상생협력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실례로 코로나 위기극복 과정에서 대중소 기업이 상생형 스마트공장인 마스크, 백신주사기 제조 등을 통해 K-방역의 성공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스마트공장의 가장 큰 성과는 지표로 표현할 수 없는 사례도 부지기수로 많다. 수기로 작성하던 생산데이터를 자동화 하고 원가관리, 품질관리, 출고관리를 손쉽게 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스마트공장의 도입을 통해 데이터 수집 관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고도화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운영기관에서도 중소 제조업체들의 수요를 감안,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을 구축하는 스마트 제조혁신 2.0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제품혁명에서 사업혁명과 공정혁명의 미래 먹거리 개발 중심의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상황인데,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다.

당분간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의 직접 지원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따라 지역의 중소 제조업체들은 단순한 생산성, 품질향상 등 공정개선에 그치지 않고 고용창출 매출증가도 감안 해야만 한다.

 김영철 ESD(주) 대표·(사)충북스마트제조혁신협회 사무국장<br>
 김영철 ESD(주) 대표·(사)충북스마트제조혁신협회 사무국장

가치사슬 상의 제조기업군 간에 합동으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참여하고 제조 경쟁력 향상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계획서가 손쉽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충북지역도 개별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이 축소되는 만큼 업종별로 협업체를 구성하고 공급기업과 도입기업이 힘을 모아야 한다.

이를위해 지역의 중견 기업들이 과감하게 선행 투자하고 동일 업종의 중소기업들을 이끌어 주는 변화된 모습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