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나라 2차전지 산업의 거점으로 생산·수출을 이끄는 충북이 관련 전문인력 육성에 나섰다. 충북도는 대학과 기업체, 연구기관 등과 협약을 맺고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에 시동을 걸었다. 정부의 국비지원 사업만으로는 지역의 2차전지 산업 신규인력을 감당하기 어려워서다. K-배터리 육성이야 국가적 과제이지만 인력부족 등으로 인한 발등의 불은 당장 지역에 떨어지기 때문이다. 나아가 관련산업 전문인력 육성체계가 구축되면 지역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게다가 위기의 지역대학이 살아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이번 협약으로 대학에서는 미래산업의 심장인 2차전지 관련 트랙을 설치, 기업수요에 맞춘 교육이 이뤄진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전문인력을 확보하게 되며 지지체와 연구소가 연계와 지원 역할을 맡게 된다. 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의 핵심은 전문 이론과 현장실무능력을 모두 갖추는 것이다. 기업과 대학 어느 한쪽만으로도 안되고, 실습 인프라와 실무교육 경험 등도 더해져야 한다. 이같은 전 과정을 총괄하고 미비한 분야를 뒷받침하는 일도 필요하다. 이런 삼박자가 맞아야 기대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을 원하지 않는 산업분야는 없을 것이다. 특히 새롭게 부상해 주력산업으로 성장하는 분야라면 더 요긴할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충북의 2차전지산업이 그렇다. 지난해 500억달러였던 세계시장 매출규모는 2025년 1천500억달러로 3배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업체와 소재·장비업체가 몰려있는 충북은 생산과 수출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충청권으로 넓히면 그 정도가 압도적이다. 연관 기업체를 비롯한 생태계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런 만큼 전문인력 확보에 목이 탄다.

충북의 인력수요만 따져도 사업체 46곳, 종사자 1만6천명으로 전국의 33%, 61%에 이른다. 이런 상황은 충북의 주력산업인 바이오, 반도체 등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더해 2027년 방사광가속기가 들어서면 관련 전문인력에 목마른 첨단 분야는 더 늘어나게 된다. 이들 분야는 확장성도 뛰어나 연관산업들의 빠른 성장도 기대된다. 따라서 첨단 분야별 전문인력 육성체계 구축에 충북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봐야 한다. 해당산업 성장은 물론 인구유입, 교육기회, 경제기반 등 생활의 모든 여건과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전문인력 육성은 2차전지 등 첨단산업의 성장기반 가운데 첫 손에 꼽힌다. 그만큼 기술과 인력이 중요하기도 하지만 당장의 수급보다 장기적으로 안정된 공급이 필요해서다. 그런 까닭에 충북의 전문인력 육성이 성공하려면 먼저 2차전지 산업의 양성 시스템의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실제 우수인력을 배출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 다음에 다른 분야로 넓혀야 한다. 시시각각 달라지는 산업구조 변화에 뒤쳐져서는 미래를 이끌수 없다. 끝으로 이를 뒷받침할 지원기관의 역할을 높여야 한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가 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