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조업 중심의 충북산업 구조에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소부장 산업 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충북 제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도 이들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그런 까닭에 이들에 대한 충북지역의 관심은 높은 편이다. 실제 전국대비 생산비중도 타 산업에 비해 높고 성장세도 가파르다. 더구나 해외 경쟁국에 비해 품질경쟁력도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아쉬움이 적지 않다. 연관기업들간의 기능연계를 높이고 현장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최근 한국은행 충북본부가 발표한 지역 소부장산업 보고서를 보면 이런 상황이 분명해진다. 높은 품질경쟁력과 빠른 성장세 등을 갖췄지만 개별입지가 많아 네트워크 형성 등 기업성과가 양호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또한 기술인력 수급면에서 부족률이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고 경력자 등 퇴직자가 많은 반면 채용은 원활하지 못하다. 이같은 평가는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보완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2020년 전국 2위의 성장률을 기록한 충북 경제발전의 밑바탕인 소부장산업의 도약이 요구되는 것이다.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연관업체들의 집적화(클러스터)는 청주지역과 진천·음성지역간 비교로 확인할 수 있다. 청주산단과 오창산단의 경우 핵심기업을 중심으로 기능연계가 이뤄져 R&D(연구·개발) 지원이 매출·고용 등에 상당한 도움이 됐다. 이에 반해 진천과 음성은 수도권에 근접한 도로망을 따라 입주함으로써 네크워크 조직 정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혁신역량 등 시너지 및 지원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두 지역이 수출·생산규모 등은 비슷하지만 클러스터 기능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과제인 인력확보는 좀더 구조적이다. 숙련된 기술자가 부족하지만 근로여건이 좋은 수도권으로 경력자들이 이동하는 데서 비롯되고 있다. 국내 산업기술인력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고 대기업 또한 같은 상황이라서 상대적으로 여건이 열세인 것이다. 이에따라 개별입지 지역을 중심으로 기반시설을 지원해 거점을 마련하고 집적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결국 거점공간 마련, 단지간 기능연계, 업체 협업 플랫폼 구축 등의 환경 조성을 통해 소부장 집적화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현재 충북 소부장산업 경쟁력은 독일보다 낮지만 일본을 앞서는 수준이라고 한다. 그러나 집적화가 충분하지 못해 기술·물류·투자 등에서 시너지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은 충북의 지역내총생산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제조업 성장에도 걸림돌이 된다. 최근 수년간 급성장해 전국대비 경제비중 3.7%를 차지한 충북의 내일을 더 밝히려면 소부장 집적화를 반드시 이뤄야 한다. 국내 소부장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도 집적화 노력에 큰 힘이 된다. 방향이 잡히고 여건이 좋으니 이제 길을 재촉할 일만 남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