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부터 모패·중성패 등 방류 영향… 올해 75t 생산 전망

천수만의 겨울철 별미인 새조개
천수만의 겨울철 별미인 새조개

[중부매일 황진현 기자]충남 천수만에 새조개가 돌아왔다.

2012년부터 8년 연속 생산량 '0'을 기록하다 도가 치패 등을 방류한 이후 통계청 통계에 다시 오르고 올해에는 70톤 이상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6일 도에 따르면 새조개는 쫄깃한 식감과 바다향 가득한 맛 때문에 서해안 대표 별미로 각광받고 있으나 그동안 생산량이 급감하며 '금값'을 주고도 구하기 어려웠다.

도내 새조개 생산량은 2003년 1천156톤으로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을 거듭, 2010년 7톤, 2011년 1톤을 보인 뒤, 2012년부터 8년 연속 공식 통계에서 '0'을 기록했다.

새조개는 생산량이 많지 않을 경우, 수협을 통해 판매되지 않기 때문에 통계가 잡히지 않는다. 그러던 2020년 25톤이 생산되며, 9년 만에 '0'을 탈출했다. 지난해에는 정부 통계에 오르지 못했으나, 홍성군이 실시한 '새조개 어장관리실태조사'를 통해 볼 때, 도내 생산량은 17톤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올해 생산량은 75톤 가량으로 예상된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공식 통계에서 사라졌던 새조개 생산량이 도의 방류 사업 이후 급증했다는 점이다.

도는 2017년 2월 새조개 모패 1만 4천590패를, 2018년 6월에는 중성패 97만 패를 천수만에 방류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자체 개발한 새조개 대량 인공부화 기술을 활용, 2019년 7월 1㎝·1g 안팎의 치패 30만 패를, 지난해 7월에는 50만 패를 생산해 각각 방류했다.

현재 새조개가 주로 생산되고 있는 곳도 방류 해역과 일치하고 있다. 방류 해역에서 채취한 새조개와 도 수산자원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새조개 모패의 유전자 패턴이 동일한 점도 눈길을 끌고 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지난해 10월 치패 방류 해역 조사 등을 위해 잠수인력을 투입, 현장에 서식 중인 5㎝·50g 안팎의 새조개 3개체를 포획했다.

이어 포획 새조개와 도 수산자원연구소 보유 새조개 모패 간 유전자를 비교, 포획 새조개가 연구소 모패의 친자인 점을 확인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올해 생산량 증가는 일단 저질 환경 개선 사업 등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로 보이고 있지만 방류 치패와 연구소 보유 모패 간 유전자 패턴이 일치하는 점으로 볼 때, 치패 방류가 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지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최근 천수만 5개 지점에서 생산된 새조개를 구입, 1개 지점 당 50패 씩, 총 250패를 추려 유전자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방류 새조개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살피는 등 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또 서산 대산에 2㏊ 규모의 축제식 양식장을 확보해 치패를 투입, 올해까지 양식장 환경과 수온 변화, 새조개 생육 변화 등을 살필 예정이다.

한편 전국 새조개 생산량은 ▷2010년 949톤 ▷2012년 426톤 ▷2014년 1천910톤 ▷2016년 293톤 ▷2018년 194톤 ▷2020년 439톤 등으로 증감을 반복하며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