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시인·문학평론가

대한민국 정부는 2022년 3월 1일 103주년 3.1절을 맞이하여 오전 10시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대한사람 대한으로'라는 주제로 문재인 대통령 내외와 국회의장, 대법원장, 독립유공 포상자 등 50여명만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례, 추모의 시간, 독립선언서 낭독, 유공자 포상, 기념사, 기념공연, 3·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순으로 기념식을 개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3주년 3.1절 경축 기념사에서 우선 먼저 "3·1독립운동의 정신과 임시정부의 역사, 자주독립과 민주공화국의 자부심을 국민과 함께 기릴 수 있게 되어 매우 뜻 깊다."고 말했다.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이 역사를 직시하고, 역사 앞에서 겸허해야 한다"고 말하고,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

기미년인 1919년 3.1운동은 천도교를 비롯해 기독교와 불교가 주도했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과 태화관에서 조선이 자주독립국임을 선언하면서 시작된 3.1운동은 삽시간에 남북한의 전국으로 퍼져나가 주로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일어났다. 재야 민족사학자인 임종국(林鍾國) 유고집인'실록 친일파'(민족문제연구소, 1991)에 따르면 60일 동안 전국에서 1천214회의 만세 운동이 벌어졌다고 한다. 3·1운동은 일본과 연해주 등 해외에서도 벌어져 1년여 동안이나 지속됐다.

조선총독부의 공식 집계에 따르면, 106만 명(1919년 3월 당시 전체 인구 1천678만8천400명 중 6.32%)이 3.1운동에 참가하였고, 진압 과정에서 553명이 사망했으며 1만2천명이 체포돼 고초를 격었다.

비폭력적인 3.1운동으로 자주 독립을 쟁취하지 못해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한민족의 독립의지를 세계 여러 나라에 널리 알렸다. 그리고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해에 민주 공화제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됨으로써 19세기 후반부터 이어져 온 근대 국민국가 수립운동이 첫 결실을 맺었다. 또한 조선총독부가 무단통치를 문화 통치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가 하면 중국의 5·4 운동, 인도의 반영운동, 베트남·필리핀·이집트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우리 조국 대한민국은 일제로부터 해방된 지 7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국토가 분단되어 남북한이 군사적 대치 상태에 있고, 일재의 잔재를 말끔하게 청산하지 못해 완전한 자주독립국가를 이룩하지 못했다.

그리고 독립유공자를 별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순애기금의 주요 수입원인 친일귀속재산 매각이 목표의 27%에 불과해서 항일독립운동가와 그 후손들 중 상당수가 아직도 국가로부터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어 고생을 많이 하고 있는데 반해 친일매국노와 그 후손들은 대부분 해방 후에도 정치권력을 잡고 떵떵거리며 잘 살고 있어 민족정기가 바로 서지 못하고 있다.

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시인·문학평론가

국가보훈처 공훈발굴과 보도 자료에 의하면,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분은 건국훈장 11,590명, 건국포장 1,471명, 대통령표창 4,224명 등 총 17,285(여성 567명)에 달한다고 한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증거 불충분으로 인해 독립운동가로 서훈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가 부지기수다.

불행 중 다행히도 국가보훈처는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지방 문화원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국내외 사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독립유공자를 발굴하고 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며 다양한 유형의 독립운동 사례를 발굴할 계획이라고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