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이일주 공주문화원장

3월 5일, 경칩이다. 날씨가 화창해져서 개구리가 긴 겨울잠에서 깨어날 때라는 절기이다. 경칩은 1년 24절기 중 입춘(立春)과 우수(雨水) 다음에 드는 세 번째 절기로, 본래 「한서(漢書)」에는 '연다'는 뜻을 지닌 '계(啓)'와 '겨울잠 자는 벌레'라는 '칩(蟄)'자를 합쳐서 '계칩(啓蟄)'이라 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후 중국 전한(前漢)시대 6대 황제였던 경제(景帝; 무제의 아버지)의 이름인 계(啓)자를 피하기 위해 '놀랄 경(驚)'자를 써서 '경칩'이라 했다는 것이다.

경칩 무렵에 처음 천둥이 치는데, 옛날 사람들은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그 소리를 듣고 놀라서 땅 밖으로 나온다는 생각을 했고, 또 이때가 되면 날씨가 따뜻해지고 우수가 지나면서 봄비가 내려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라고 여겼다.

경칩 풍습으로는 고로쇠 수액을 마시거나, 산이나 들의 깨끗한 물을 찾아 개구리 알을 건져 먹기도 하였다.

개구리 울음 소리를 듣고 한 해의 건강이나 농사, 길흉 점을 치기도 했다고 하며, 경칩 날에 보리 싹이 자라는 모양을 보고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예상하기도 했다.

경칩에 흙일을 하면 좋다고 하여 겨울에 무너진 흙집 벽을 고치기도 하고, 흙을 이용해서 담장을 쌓기도 하였다.

논과 밭에 나가 일 년 농사지을 준비도 한다. 성종실록에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했다고 하였다.

그뿐만이 아니다. 옛날에는 청춘 남녀들이 은행(銀杏)을 주고받으며 나누어 먹으면서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해가 지면 암나무와 수나무를 돌면서 정을 다지기도 했다고 하니 경칩은 연분(緣分)을 맺어주는 절기이기도 하다.

들녘에는 어느 사이에 돋아나 자란 쑥이 봄 내음을 물씬 풍겨주며, 겨우내 방치해 두었던 밭에 나가보면 냉이와 달래가 반겨준다. 지금도 경칩 때가 되면 바다에서 잡는 도다리와 쑥으로 조리한 '봄도다리쑥국'을 대표적인 봄철 음식으로 꼽는 지역이 많다.

옛날부터 '우수와 경칩이 지나면 대동강물이 풀린다', '경칩에 삼라만상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등의 속담이 전해 내려온다.

이 밖에도 경칩 절기를 표현하는 말이 많은데, 공통된 주제어는 '풀린다', '깨어난다', '트인다', '시작한다', '흐른다' 등등이다. 모두가 좋은 뜻으로 들린다.

우리는 경칩 나흘 전에 3.1절을 보냈다. 수많은 선열(先烈)들께서 목숨을 바쳐 우리나라를 지켜주신 덕분에 오늘날 우리가 평안한 삶과 행복을 누리고 있다. 일제로부터 강점을 당했던 아픈 과거를 잊지 않고 애국운동가들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추모하는 중에도 오미크론은 봄바람 타고 번지는 산불과도 같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나라 안에서는 대통령 선거를 4일 앞두고 치열한 막판 선거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 밖에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으로 세계평화가 위협받고 있다. 6월 1일로 예정되어 있는 전국 지방선거까지 또 얼마나 많은 경쟁과 갈등이 전개될지 알 수 없다.

경칩을 계기로 하여 모든 일이 우리가 바라는 대로 잘 풀리면 좋겠다. 독자들이 이 글을 읽기 전에 전쟁이 끝나고, 오는 10일 새벽이면 결정될 새 대통령을 중심으로 모든 국민이 화합해서 새 나라를 만들어 가면 참 좋겠다.

이일주 공주문화원장
이일주 공주문화원장

코로나든, 오미크론이든 모든 감염병이 빨리 소멸되면 좋겠다.

지방 선거도 후보들 간에 선의의 경쟁은 하되, 축제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지면 정말 좋겠다.

큰 기대와 소망 속에 맞이하는 경칩이다. 드넓은 자연에도, 우리들 깊은 마음속에도 아름다운 꽃이 피어나는 새 봄을 그린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