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정류장 공사로 막대한 예산 낭비… 이용객 불편도 커

[중부매일 나인문 기자] 대전시가 최근 대전역~오송역을 오가는 BRT(Bus rapid transit·간선급행버스체계) B1 노선에 2층 전기저상버스를 운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이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정류장을 새롭게 뜯어고쳐야 하는 등 실제 운행까지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은 것으로 지적된다.  

대전시가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와 출·퇴근 이용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올 하반기부터 2층 전기저상버스 2대를 새롭게 도입해 운행할 예정이지만, 현재 일부 BRT 정류장이 단층짜리 버스가 다닐 수 있도록 처마가 낮게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가 도입 예정인 2층 전기저상버스. /대전시
대전시가 도입 예정인 2층 전기저상버스. /대전시

대전시는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신교통형 BRT정류장 건설에 앞서 시범사업으로 추진했던 첫마을(한솔동)과 정부세종청사 북측, 도담동(도램마을) 등 3개 정류장에 설치된 양방향 6개소의 낮은 처마를 개선하기 위해 세종시에 공문을 보내 정류장 개선을 요구한 상태다. 

또 이 같은 요청을 받은 세종시는 BRT정류장 시설 전반을 책임지고 있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정류장 개선을 요구하는 등 시공 사업을 놓고 대전시와 세종시, LH가 핑퐁(ping-pong) 중이다. 

문제는 새로운 기술이나 모델이 도입될 때마다, 또는 정책이나 방침이 바뀔 때마다 정류장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게다가 버스 출입문과 스크린도어가 일치하지 않아 바닥을 파고 센서를 교체하는 등 잦은 정류장 개선사업으로 인해 수년째 시민들의 불편이 반복되면서 "BRT 정류장은 연중 공사 중"이라는 이용객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그동안 LH는 BRT정류장 설치사업을 시범사업, 1단계, 2단계 사업 등 단계별 설치시기에 맞춰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역 내에 48개소를 설치했다. 

우선, 도램마을, 정부청사 남측, 첫마을정류장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해 44억8천800만원을 들여 양방향 정류장 6개소를 설치했다. 

이어 1~4생활권 정류장 14개소를 대상으로 스크린도어 등 개선사항을 반영해 141억1천200만원을 투입해 1단계 사업을 추진했다. 

또 새롭게 아파트단지를 건설 중인 5~6생활권 내에 BRT정류장 7개소를 설치하기 위해 2단계 사업을 계획 중이다. 

하지만 기술변화와 정책 방향이 바뀔 때마다 그때그때 땜질식 처방으로 정류장을 부수고 고치는 일이 반복되면서 이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막대한 예산낭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당장 3천500㎜로 설계된 일부 정류장의 처마를 2층 버스가 오갈 수 있는 3천995㎜의 높이로 맞추기 위해서는 승강장 처마를 아예 뜯어내야 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기점지인 대전역과 차고지인 대전 금고동에는 2층 전기버스 전기충전시설도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2층 전기저상버스 차량가격이 대당 8억원으로, 운행업체의 자부담 2억원을 제외하더라도 6억원씩 12억원을 보조금으로 지원해야 한다. 시는 현재 국비확보를 위해 관련부처와 협의 중이고, 시비는 이미 확보된 예산을 활용한다는 계획이지만 BRT가 자칫 '세금 먹는 하마'로 눈총을 받는 게 아닌지 시민들의 시선도 곱지 않다. 

LH 세종특별본부 관계자는 "정류장 처마를 잘라내면 될 지, 이참에 처마부분을 새롭게 개선할지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대전시,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등과 논의를 거쳐 2층 전기저상버스가 운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한선희 대전시 교통건설국장은 "B1 노선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위해 좀 더 일찍 저상버스를 도입하지 못해 유감스럽다"며 "버스정류장 개선 등 선행과제를 해결해 올 하반기부터는 2층 전기저상버스가 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