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에 본사를 둔 대전·세종·충남북을 아우르는 충청권 지방은행이 자본금 10조 원 규모의 '기업금융전문은행'으로 확대 설립된다.

1997년 IMF 구제금융 여파로 충청권에서 지방은행이 사라진지 24여년 만이다.

대전·충남에 본거지를 둔 충청은행이 1997년 IMF 구제금융 여파로 1998년 6월 29일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퇴출은행으로 확정돼 하나은행에 흡수 합병됐다.

또 충북에 영업기반을 둔 충북은행 역시 1998년 금융산업 구조조정, IMF 위기를 헤쳐나아가지 못하고 1999년 4월 조흥은행에 합병된 후 2006년 신한은행으로 재합병되며 아쉽게도 충청권에서 지방은행이 자취를 감췄다.

그동안 금융서비스의 수도권 쏠림 현상의 심각성을 정치권은 물론 지방 금융계에서 꾸준하게 제기해 왔고, 수도권과 지방의 금융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던터라 충청지역으로선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8~29일 대전 방문 시 대선공약인 충청권 지방은행을 자본금 10조 원 규모의 '기업금융전문은행'으로 확대추진하겠다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계획 등을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지방은행을 뛰어넘는 기업금융 중심으로 한 특수은행 설립에 대한 견해가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과 인수위는 자본금 250억 원 규모의 지방은행보다는 향후 충청권 미래산업 육성과 대규모 기업 지원을 위해서는 특수은행 형태의 기업금융중심 지역은행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를 위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이 약 10조 원을 출자해 특수은행 형태의 은행 설립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금융중심 지방은행은 신산업·신기술 자금 조달과 중개운용 등 벤처투자를 주요 기능으로, 지방은행 기능을 병행하자는 구상이다.

또 방위산업, 항공우주산업,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케어 등 윤석열 대통령의 대전지역 공약 실행을 위해서는 금융기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지가 담긴 것이라 해석 할 수 있다.

그동안 지방은행 설립에 대한 연구는 다각도로 이루어져 왔다. 방만기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장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방은행은 지역 자금을 해당 지역에 재투자하고 분배하는 선순환구조를 만드는 핵심 고리 역할을 한다"며 "충청권을 모두 포함하는 지방은행을 설립할 경우 생산(3조5천억 원), 부가가치(2조 원), 고용(2천86명) 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방은행의 경우 중소기업대출 의무비율은 60%로 일반 시중은행 40%와 비교해 높다. 즉 지방은행은 시중은행보다 20%를 더 지역 중소기업에 대출을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로 지역경제 선순환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된다. 그동안 대구·경북 지역의 대구은행, 부산 지역의 부산은행, 경남 지역의 경남은행, 광주·전남지역의 광주은행, 전북지역의 전북은행, 제주지역의 제주은행 등 6개 지방은행이 지역 경제를 선도해왔던 것처럼 충청권을 아우르는 지방은행 설립이 하루빨리 설립돼 지역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