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관절염 치료, 고령 환자도 연골판 부분 절제술 효과 확인

송주호 교수

[중부매일 나인문 기자]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 시 고령의 환자라도 부분 절제술을 통한 적극적인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송주호 교수의 '퇴행성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반월판 절제술 후 관절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의 연구논문이 유럽 스포츠의학회 공식 학회지인 KSSTA(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에 채택됐다.

송 교수에 따르면, 무릎 안에는 내측과 외측, 2개의 반월연골판이 있으며 무릎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고 분산시켜 연골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퇴행성 내측 반월연골판 파열에 시행되는 관절내시경 연골판 부분 절제술은 통증이나 부종 등의 증상 완화에는 도움이 되지만 무분별하게 시행되면 장기적으로 퇴행성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따라서 수술이 필요한 환자를 신중히 선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환자의 나이는 막연히 불량한 예후 인자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송주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령의 환자라도 무조건 불편함을 참고 지낼 필요 없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심하지 않으면 연골판 부분 절제술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KSSTA는 또 송 교수의 '동종 연골판 이식술 시행에 따른 예후 및 이식물 생존율에 대한 추적관찰' 연구논문도 채택했다.

동종 연골판 이식술은 퇴행성의 변화, 외상, 수술 등으로 무릎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반월연골판이 결손돼 이로 인한 통증이 나타날 때 고려할 수 있는 수술이다.

그러나 외측 연골판 이식술은 까다로운 수술인 데다 예후나 이식물의 생존율에 대해 알려진 부분이 많지 않다.

더욱이 연골판은 단순 X-ray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임상에서 장기 예후를 평가하기가 어렵다.

송주호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동종 연골판 이식물을 MRI를 통해 추적관찰 했을 때 후각부의 신호 증가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추시(追試)가 필요함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