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찍어낸 청주가 또하나의 문서 챔피언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호적과 토지대장인 「통일신라 촌락문서」가 바로 청주를 배경으로 작성된 것이다.
 지난 1933년, 일본 도다이사(東大寺)의 창고인 정창원(正倉院)에서 발견된 이 문서에는 서원경(청주)과 그 주변의 마을 현황, 인구, 우마수, 토지면적, 유실수 그루까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두장, 62행 해서체(楷書體)로 작성된 이 기록은 경덕왕 16년(757)에 만들어진 것으로 서원경 관내의 1개 촌과 인근의 3개촌에 대한 일종의 조세 보고서이다.
 서원경 직할촌의 둘레는 4천8백보(8.64km)이며 면적은 5.945㎢에 달한다. 촌락의 주민구성은 촌주(村主)와 농민, 노비들로 촌주는 비교적 많은 전답을 보유하고 있다. (나경준, 신라 서원경 치지 연구)
농민들은 정(丁)·정녀(丁女)·조자(助子)·조자녀(助子女) 등으로 구분하였는데 직할촌의 경우 남자 51명, 여자 67명 등 모두 118명이 거주하였다. 여기에 나타난 인구 센서스는 현재까지 전해지는 관련문서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성(姓)은 물론 박(朴)이다. 진한 사람들은 표주박을 박(朴)이라 했는데 박혁거세가 큰 알에서 나오자 큰 알이 표주박 같았으므로 박(朴)을 성으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삼국사기에 적혀 있다.
 신라왕조를 이어간 박(朴)·석(昔)·김(金) 삼성이 말해주듯 고대에는 왕족이나 귀족을 중심으로 성을 쓸 수 있었고 평민, 노비에게는 성이 없었다.
 고려를 창업한 태조 왕건은 개국 공신을 중심으로 성을 부여했다. 고려시대에는 족보에 해당하는 세보(世譜) 등이 있었다.
 호적의 근거가 되는 족보가 본격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조선시대 부터다. 그런데 이때까지도 상당수의 사람들이 성을 갖지 못했다. 16세기까지 성을 갖지 못한 사람은 무려 40%에 달했다.
 성이 없던 천민 계급은 조선 후기에 이르면서 하나 둘 성을 갖게 되었는데 성에 대한 정체성이 없었으므로 부득이 족보를 세탁하는 수밖에 없었다.
 족보세탁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동원되었다. 자신을 명문거족의 후예로 만들기 위해 조상의 격을 높이거나 미화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였고 어떤 때는 다른 계보에 자신을 접속시키기도 하였다.
 이도 시원찮으면 숫제 성을 갈거나 다른 사람의 성으로 편입하는 세탁과정을 거치기도 하였다. 또한 정치적 변혁속에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 본관을 바꾸거나 함께 사용하는 예도 있었다.
 중국 조선족을 대상으로 호적세탁을 통해 가짜 한국인을 만들어준 브로커가 무더기로 검거되었다. 명분과 이해득실 앞에서 호적 바꾸기를 손바닥 뒤집듯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매 한가지인 모양이다. lbm@jbnews.com

키워드

#연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